최용재 대한아동병원협회장 “아동병원, 의료전달체계서 허리 역할 해야” [인터뷰]
“정부가 아동병원을 둘러싼 생태계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소아·청소년과 지원책은 성공할 수 없습니다.”
‘소아과 오픈런’을 끝내기 위해 소아·청소년과의 의료전달체계를 재건해야 한다는 요청이 나왔다.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아동병원, 최종적으로는 상급종합병원까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최용재 대한아동병원협회장(의정부 튼튼어린이병원장)은 “현재 소아·청소년과의 생태계는 초토화된 지 오래다”라며 “의원은 문을 닫고, 대학병원에는 전문가가 부족한 상황에서 아동병원은 고사 위기”라고 우려했다.
최용재 회장은 최근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 튼튼어린이병에서 본지와 만나 진료 현장에서 체감하는 소아·청소년과의 위기와 아동병원을 살리기 위한 대책을 제시했다.
아동병원은 의원급 의료기관과 3차 병원의 가운데 위치해 중추적 역할을 한다. 1차 의료기관에서 대다수 경증환자를 걸러낸 뒤 입원이나 종합적인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이 아동병원으로 온다. 이후 아동병원은 치료를 종결하지 못한 소수의 환자를 대학병원이나 상급종합병원으로 보내, 의료전달체계를 실현한다. 하지만 최 회장에 따르면 이 같은 생태계는 무너진 지 오래다.
최 회장은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를 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환자는 몰리고, 있는 의사들도 좋은 근무 환경을 찾아 줄줄이 나간다”라며 “업무 강도가 낮고 임금이 높은 입원전담전문의 자리로 인력 유출이 심각하다”라고 토로했다. 이어 그는 “지방 대학병원에서 한창 일을 할 시기인 젊은 교수들이 약속이나 한 듯 다 그만두고 있다”라며 “강원도는 아무것도 없고, 충북과 충남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대학병원에서 봐야 할 중증 환자가 아동병원으로 찾아오기 일쑤다. 최 회장에 따르면 아동병원에서 치료를 담당할 수 없는 환자들이 최종 치료가 가능한 상급 의료기관을 찾을 수 없다는 현실이라고 했다.
그는 “불과 생후 16일, 18일, 1개월이 지난 환아는 아동병원에서 볼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라며 “그런데 환자를 받아주는 대학병원이 없으니 구급차가 환자를 아동병원에 놓고 가버린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대학병원도 아닌 아동병원에서는 손을 쓸 방법이 없는데, 환자를 치료하다가 상태가 악화하면 법적으로 보호받지도 못한다”라며 “이런 상황이 개선되지 않으면, 전국의 아동병원들이 대부분 문을 닫게 될 것”이라고 우려의 목소를 냈다.
정부의 예산이 엉뚱한 곳에 투입되고 있다고도 지적했다. 지난해 정부는 2월과 9월 2차례 걸쳐 소아·청소년과 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해당 과 전공의와 전임의에게 관련 보조수당을 지급하고, 수가 인상 등의 정책을 내놨다. 이달 1일엔 소아·청소년과를 비롯한 필수의료 분야에 건강보험 재정 10조 원 이상을 투입하는 내용의 정책 패키지도 발표했다.
최 회장은 “소청과 재건은 돈과 의지만으로 성공할 수 없다”라고 단언했다. 수도권과 대학병원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는 비효율적인 지원 정책을 경계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최 회장은 “서울 소재 병원이나 대학병원에 지원 예산이 몰리면, 의사들도 더 나은 일자리를 찾아 이동하기 마련”이라며 “정부가 돈을 쓸수록 지방 병원과 아동병원은 바싹 말라가는 모순적인 상황이 발생해서는 안 된다”라고 당부했다. 이어 그는 “소아청소년과 진료가 가능한 응급시설이나 센터를 더 만들고, 그곳에 근무시키기 위해 전국적으로 부족한 소청과 전문의를 억지로 차출하면 소아 진료의 실핏줄들이 망가지고 결국 지방에서부터 대규모 소아 진료 ‘대란’이 오게 된다”라고 내다봤다.
소아·청소년과 소생의 핵심으로는 ‘정밀한 예산 분배’를 꼽았다. 10조 원 단위의 대규모 예산도 적재적소에 투입되지 않으면 실효성이 없을 것이라는 우려에서다. 최 회장은 “외래와 입원 진료를 같이 실시하면서, 어느 정도의 분과 진료도 수행하는 전국의 120여 곳 아동병원을 전폭적으로 지원해 준중증 환자와 경증 환자가 상급종합병원 응급실로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라며 “아동병원 인프라가 공고해지면, 상급종합병원 응급실이 불필요하게 붐비지 않아 인력과 비용 낭비를 줄일 수 있다”라고 제안했다.
전문의 확보를 위한 진료환경 개선도 병행해야 할 과제로 지목했다. 환자의 예후가 나쁘다고 의료진이 고소를 당하거나, 진료 수입이 보장되지 않아 의사들이 소아·청소년과를 떠나는 실태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최 회장은 “위험성이 높은 진료를 담당하는 의사에 대한 합당한 대우가 이뤄져 새내기 의사들이 수익에 연연하지 않고 위험을 감수하는 보람에 소청과를 선택하도록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라며 “근무 태만이나 고의가 아닌 의료 사고에 대해서는 국가적인 보상시스템을 마련해 소신 진료가 가능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