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모르고 긁은 카드·받은 대출에 빚 굴레 빠진 청년[2030 금융역량 UP ㊤]

입력 2024-03-06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융위 차원 ‘청년 금융교육’ 강화 계획 발표
전 세대 중 청년 소액생계비 연체율 가장 높아
잘 알지 못하는 금융활동으로 피해 커질 가능성↑

청년세대의 금융 문제가 수면 위로 올라왔다. 2030세대는 빚을 갚을 여력이 가장 적은 세대이자, 금융에 대한 이해도도 낮은 세대다. ‘잘 모르고 한 금융거래’가 청년의 발목을 잡지 않도록 금융교육이 필요한 이유다.

금융당국은 5일 열린 민생토론회에서 청년 금융교육 강화를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금융위원회는 올해 하반기 중 ‘청년 원스톱 금융상담 창구’를 개설해 신용, 부채상담, 자산관리 서비스 등을 맞춤형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또 6월에는 기획재정부와 협업해 디지털 경제교육 플랫폼을 만들어 부동산, 금융상품 정보 등 민간·공공의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청년에게 제공하기로 했다.

이같이 정부가 청년 대상 금융교육에 속도를 내는 건 청년세대의 빚 문제가 심각해져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 소액생계비 대출의 연체율은 20대가 15.5%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연체율 상승 폭도 20대가 가장 컸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11.4%였던 20대 차주의 연체율이 두 달 만에 4.1%포인트(p) 올랐다. 같은 기간 40대가 2.2%p, 50대가 1.6%p 오른 것과 비교된다.

이는 50만~100만 원 수준의 소액도 갚지 못하는 청년이 늘고 있음을 뜻한다. 연 500%를 넘는 고금리 불법사금융에 노출될 가능성이 큰 청년이 많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청년 중에는 투자실패로 인해 빚을 지는 경우도 많다. 신용회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투자실패’로 빚을 갚지 못해 채무조정을 신청한 이들 가운데 2030세대의 비중이 51%에 달했다. 생계비 지출 증가나 질병, 사고 등의 이유로 채무조정을 신청한 이들 중 청년 비중이 35%에 불과한 것을 고려하면, 청년세대는 다른 세대에 비해 ‘잘못된 선택’으로 인해 빚더미에 앉게 되는 경우가 많음을 방증한다.

문제는 이들이 빚의 굴레에서 벗어날 힘이 없다는 점이다. 청년층은 다른 세대에 비해 금융이해력이 낮다.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의 ‘2022년 전 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29세 이하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65.8점으로, 성인 전체 66.5점보다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청년층이 전세사기, 불법사금융 등 금융사기범죄에 노출되기 쉬운 이유이기도 하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전세사기 피해 6063건 중 70%에 달하는 4227건이 2030세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청년들이 ‘잘 알지 못한 채 하는 금융활동’이 문제라고 지적한다. 정수민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청년들은 이자율에 대한 꼼꼼한 비교 없이 더 간편하고 빨리 받을 수 있는 대출을 택하는 경우가 많다”며 “빚을 지기 전에 금융상품을 신중히 고려하는 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준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청년들의 투자 행태를 보면, 안전자산과 위험자산 사이 배분이 잘 돼 있지 않다”며 “집 마련, 여행 등 사용 목적에 맞는 분산투자방법 교육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