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현로] AI혁명, 반도체가 결정한다

입력 2024-03-06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4차 산업혁명은 생성형AI로 완성
반도체가 핵심…국제경쟁력 원천
정부·업계 원팀돼 주도권 확보해야

올해 1월 9일부터 12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지구촌 최대의 전자·정보기술 박람회 ‘CES 2024’에서는 온디바이스 생성형 AI(인공지능)가 소개돼 지구촌을 뜨겁게 달궜다.

2월 26부터 29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 이동통신전시회 ‘MWC 2024’에서도 온디바이스 AI가 가장 주도적인 글로벌 트렌드로 떠올랐다. 이 전시회에서는 AI 휴대폰 갤럭시 24를 출시한 삼성전자가 손가락에 끼면 24시간 헬스케어가 가능한 ‘갤럭시 링’을 공개한 후 ‘반지의 제왕’으로 불리며 글로벌 이동통신사들과의 협력이 구체화되고 있다.

글로벌 산업 트렌드의 방향타 역할을 하는 2개의 메가 쇼를 분석해 보면, 미래 인터넷을 통한 진정한 4차 산업혁명 기술은 생성형 AI로 귀결되는 듯하다.

AI는 1997년 IBM의 인공지능 딥블루가 체스 세계 챔피언인 카스파로프에게 승리한 이후, 2016년 우리나라 바둑 천재 이세돌과 인공지능 알파고의 대결이 TV로 생중계되면서 전 세계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AI산업 혁명을 뒷받침하는 핵심적 요소가 반도체다. 2023년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로 선정된 크리스 밀러의 ‘반도체 전쟁(Chip War)’은 국제 경쟁력의 원천이 컴퓨터와 로봇을 움직이는 반도체에 있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미국은 첨단 반도체와 반도체 생산 기술이 중국시장에 유입되지 않도록 칩4 동맹을 통한 반도체 제재로 반도체 굴기를 꿈꾸던 중국의 고급 반도체 제조 역량에 타격을 줬다.

한편으로는 반도체지원법을 통해 미국 내 반도체 생산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반도체 패권을 차지하기 위한 각국의 선제적 투자와 지원도 활발하다.

AI혁명으로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자 미국과 일본은 정부가 전폭적으로 산업과 기업을 지원하며 한국과 대만에 내주었던 반도체 패권을 되찾고자 노력하고 있다.

반도체 패권 경쟁은 글로벌 빅테크들이 직접 반도체 영역까지 뛰어들면서 점입가경이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 CEO 샘 올트먼은 글로벌 반도체 산업을 재편하기 위해 최대 7조 달러(약 9300조 원)의 자금을 조달하겠다고 했다. 우리나라 올해 예산(656조6000억 원)의 14배를 반도체에 투자할 계획이다.

샘 올트먼은 자체 AI반도체 개발을 위해 2월 26일 삼성전자 사장을 만나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생성형 AI 챗GPT를 개발한 오픈AI는 그동안 AI반도체를 엔비디아에 전적으로 의존해왔다.

2월 29일에는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가 방한하여 윤석열 대통령을 예방한 자리에서 세계 1위 파운드리 업체인 대만의 TSMC와의 관계를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표현하며 향후 삼성전자와의 협력 가능성을 시사했다.

메타는 작년 5월 AI와 동영상 처리 작업을 지원하는 반도체 2종을 공개했는데 모두 TSMC에서 제조했다.

2022년 기준 반도체 시장에서 비메모리 비중은 76.12%, 매출액은 약 4500억 달러(약 600조 원), 비메모리 분야 매출 점유율 1위는 미국으로 54.5%다.

한국은 전체 6위로 매출 20조 원 수준으로 중국보다 낮다. 메모리 분야에서는 삼성전자 2위, 하이닉스 4위로 선두 지위를 가지고 있지만 비메모리에선 낮은 수준이다.

SK하이닉스도 메모리 반도체 공장 설립을 위해 용인시 원삼면 125만 평 부지에 120조 원을 투자하여 4개의 팹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2027년까지 1단계 팹공장을 가동하겠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도 첨단 시스템반도체 생산을 위하여 용인 남사, 이동에 300조 원을 투자하는 반도체 생산 클러스터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미국과 일본은 정부와 산업이 힘을 합쳐 반도체 주도권 쟁탈을 위한 경쟁에 뛰어 들고 ‘원팀’을 가동하고 있고,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도 AI반도체 확보를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우리 반도체 기업의 경쟁력을 돌아봐야 할 때다.

용인시가 SK하이닉스 반도체 공장 준공일정 단축을 위해서 TF를 꾸려 건축허가 신청 전부터 사업자 측과 소통하면서 법적 기준 충족 여부, 보완 사항 등을 사전에 판단해 대응하는 방식으로 허가 기간을 단축할 방침이라니 그나마 다행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