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장 최근 3년간 2.7배↑
예술형 주화 시장이 빠르게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도 국가 브랜드와 문화적 강점을 살려 예술형 주화를 발행해야 한다는 업계 지적이 나왔다. 글로벌 예술형 주화 시장은 20조 원 규모에 달한다.
1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예술형 주화 산업 육성 제안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예술형 주화는 자국을 대표하는 상징물을 주제로 금·은 소재를 사용해 발행하며 중앙은행이 그 순도와 무게를 보증하는 법정화폐를 말한다. 귀금속 시세에 따라 판매 가격이 달라지고 매년 동일한 주제로 발행된다는 점에서 액면 가격에 판매되며 일회성으로 발행되는 기념화폐와는 구분된다.
주요국의 주화 매출은 예술형 주화가 압도적으로 높다. 전체 주화 매출 중 예술형 비중은 2022년 기준 캐나다 91.6%, 영국 88.1%, 미국 70.3%로, 유통·기념주화 비중을 대폭 웃돈다. 반면 예술형 주화를 발행하지 않는 한국은 유통 주화 비중이 87.3%로, 주화 대부분을 차지한다.
글로벌 예술형 주화 시장은 2019년 7조5000억 원에서 2022년 19조9000억 원으로 3년 새 2.7배 대폭 성장했다. 2022년 기준 예술형 주화 발행 규모는 미국이 4조9000억 원으로 가장 많았다. 순위가 낮은 호주도 2조2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국은 자국의 역사·문화·예술적 상징물을 반영한 예술형 주화를 발행해 국내와 해외에 판매하며 국가 문화 홍보에 활용하고 있다. 미국의 ‘이글’, 중국의 ‘판다’, 캐나다의 ‘메이플’, 오스트리아의 ‘필하모닉’, 호주의 ‘캥거루’가 대표적이다. 오스트리아, 스페인 등은 발행량의 30~40%를 수출하며 예술형 주화를 이용해 해외에 국가 브랜드를 알리고 있다.
반면 아시아에서는 중국을 제외하면 발행국이 없는 상황이다.
한경협 관계자는 “서양 중심의 주화 시장에 한국이 참여할 경우 희소성이 높아 신규 수요를 끌어낼 수 있고, 한국의 대표 이미지를 국제적으로 홍보할 수 있다”며 “일본, 아세안이 아직 시장에 참여하지 않은 지금이 기회”라고 설명했다.
주요국들은 예술형 주화 발행을 통해 전후방 산업 활성화, 재정수입 확대 효과를 얻고 있다.
예술형 주화는 밸류체인 단계별로 다양한 산업이 연관돼 있다. 먼저 ‘원자재 조달’ 단계는 귀금속 정제련 산업과, 재료가격 리스크 헷지를 위한 금융상품 등의 발달 효과를 가져온다. ‘주화 제조’ 단계에서는 3D 조각, 금형제작, 제조용 기계장비·부품 산업의 성장이 동반되며, ‘유통·판매’ 단계에서는 전문유통사의 발달과 2차 소매시장 활성화 등 새로운 유통 생태계가 조성된다.
주화를 발행하는 조폐국이 거둔 재정적 수익은 국가재정에도 도움이 된다.
캐나다는 왕립조폐국이 창출한 연간 850억 원의 수익을 재무부의 재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오스트리아는 조폐국이 벌어들인 연간 1300억 원의 수익을 중앙은행에 귀속시켜 재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국민들의 금 보유량이 늘어나 국가차원의 외환 위험 대응력도 강화할 수 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디지털 경제의 발전으로 유통 주화는 사라지고 있지만, 예술형 주화는 전 세계 20조 원 시장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이자 K-팝, K-드라마 등 K-컬쳐와 반만년의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문화강국이다. 국가브랜드와 문화적 강점을 살려 예술형 주화 발행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