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인센티브 활용한 투자 다각화 필요”
인도 정부 “투자 혜택 더욱 확대할 것”
인도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인도의 투자 인센티브와 규제 등 정책 환경에 대한 선제적 파악이 필수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일 롯데호텔에서 ‘공동 번영을 위한 한-인도 산업협력’을 주제로 한-인도 산업협력 포럼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영원무역, 크래프톤 등 인도 진출 기업과 인도 정부 관계자, 산업 전문가 등이 참여해 인도 시장 진출 전략을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인도 진출 및 진출 의향이 있는 기업 100여 개도 참석해 사업 전략을 모색했다.
최근 인도는 급속한 성장을 거듭해 2022년 기준 인구수 세계 1위, 명목 국내총생산(GDP) 세계 5위의 경제 대국이 됐다. 하지만 한국의 대(對)인도 투자는 전체 해외투자의 1%도 되지 않는 수준이다.
박병열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한국과 인도 간의 무역 및 투자는 수교 50주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제한적”이라며 “한국의 대인도 수출(2000~2023)은 전체 수출의 2%에 불과하고, 한국의 대인도 외국인직접투자(2000~2023)는 전체 투자의 1% 수준으로 제조업에 집중되어 있다”고 분석했다.
박 부연구위원은 “인도의 정책 환경에 맞춘 투자 다각화가 필요하다”며 “한국의 대인도 투자 촉진 방안을 마련하고 양국 간 포괄적 소통 채널을 구축하며 투자 활성화를 위해 우리 기업의 애로사항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민석 영원무역 사장이 ‘한국 기업의 인도 진출 사례 및 시사점’을 주제로 발표했다. 영원무역은 인도 정부로부터 꾸준한 투자 요청을 받아온 의류 업체로 인도에 12개의 공장 설립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 사장은 “인도 정부는 자국 섬유 가공 기술력을 강화하기 위해 2020년부터 생산연계인센티브(PLI) 제도를 운영해 왔다”며 “영원무역의 인도 자회사인 에버탑은 인도에서 생산된 제품을 기준으로 매출 증가분의 4~6%에 대한 보조금 및 세제 혜택을 받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인센티브를 지혜롭게 이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규제 대응도 중요하다”며 “토지 사용 문제, 건축물 승인, 경제특구 내 사업자등록 문제 등이 애로로 꼽힌다”고 말했다.
인도 정부 관계자들은 인도의 투자환경과 정책 환경을 소개했다. 수니타 모한티 인도 국가투자진흥원 부사장은 “국가투자진흥원은 한국 기업 지원 전담부서인 ‘코리아플러스’를 설치해 인도에 투자를 원하는 한국 기업을 위해 투자 초기 단계부터 마무리 단계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인도 자동차 시장은 2030년까지 3000억 달러로, 특히 전기차 시장이 206억 달러의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며 “자동차, 배터리 분야와 연관 산업인 재생에너지 및 그린수소 분야에서 폭발적인 투자 기회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스실 칼 인도 전자정보기술부 국장은 “인도는 2030년까지 전 세계의 10%인 1100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 시장이 될 것”이라며 “반도체 전자부품 생태계 및 공급망 활성화를 위해 직접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새로운 설비 투자 연계 제도 신설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정범식 대한상의 아주통상팀장은 “인도 경제가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에너지, 교통, 건설, 통신, 정보기술(IT)과 같은 국가 인프라 수요도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며 “우리 기업들이 해당 분야에 세계적인 강점을 가진 만큼 인도의 기업 환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많은 사업 기회가 창출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