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전인 2016년 20대 총선 직전 여론조사는 과녁을 크게 빗나간 사례로 회자된다. 이른바 '깜깜이 기간'(선거일 6일 전 여론조사 공표 금지)에 들어가기 전 발표된 한국갤럽의 정당 지지율 조사에서 새누리당(현 국민의힘)은 39%, 더불어민주당은 21%로 집계됐다. 보수 과반을 점치는 시각이 우세했다. 뚜껑을 열어보니 민주당이 123석(새누리 122석)으로 '1석 차' 1당에 올랐다. 국회의장도 민주당 몫이 됐다. 훗날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동력이 된 1석이었다.
당시 야권은 민주당과 국민의당의 분열로 패색이 짙은 것으로 평가됐지만, 여당 주류였던 친박(친박근혜)계의 비박(비박근혜)계 공천 학살에 따른 갈등이 야권 분열을 상쇄했다. 국민의당이 호남·비례 합산 38석 돌풍을 일으켰지만, 민주당은 반대급부로 수도권 의석을 휩쓸면서 여론조사 결과를 무위로 만들었다. 당시 보수의 공천 파동 후폭풍은 19대 대선·7회 지선·21대 총선까지 전국 선거 4연패로 이어졌다. 국민의힘은 2년 전 20대 대선에서야 연패 사슬을 끊었다.
20대 총선의 서울 종로·은평을도 관련 사례로 묶인다.
당시 오세훈 새누리당 종로 후보는 정세균 민주당 후보를 여론조사에서 크게 앞섰다. 오 후보의 낙승이 예상됐다. 정 후보는 선거 약 3주 전 발표된 코리아리서치 여론조사를 인용하며 "오 후보 45.8%, 제가 28.5%로 17.3%포인트(p) 격차다. 이 숫자를 꼭 기억해달라. 왜곡인지 아닌지 증명하겠다"고 반발했다. 결과는 정 후보(52.60%·오 후보 39.72%)의 압승이었다. 은평을에서도 선거 직전 여론조사는 새누리당을 탈당한 비박(비박근혜)계 좌장 이재오 무소속 후보의 승리를 예상했지만, 금배지는 강병원 민주당 후보의 몫이 됐다.
비슷한 사례는 2020년 4월 15일 치러진 21대 총선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선거 일주일 전(8일) 발표된 엠브레인퍼블릭 조사에서 대구 수성갑 주호영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후보(43.9%)와 김부겸 민주당 후보(38.3%)는 오차범위 내 접전(표본오차 ±4.4%p.)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주 후보(59.81%·김 후보 39.29%)의 넉넉한 승리였다.
20대 총선까지 여론조사는 대개 유선전화였다. 하지만 2017년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이동통신 3사로부터 연령·지역 등에 따른 휴대전화 가상번호(안심번호)를 여론조사에 활용할 수 있게 됐고, 유선 비중이 급감하면서 비교적 정확성이 높아졌다. 유선 방식은 보수 성향이 짙은 60대 이상 고령 유권자 표심이 과다 표집된다는 지적이 있었다. 때문에 종종 예측이 빗나간 과거 사례와 현재 상황을 동일선상에 두고 단순 비교해선 안 된다는 것이 관련 업계의 설명이다.
하지만 선거를 앞두고 일부 후보의 설화로 전국 판세가 요동친 사례도 적지 않다.
21대 총선 직전 막말 파문으로 통합당에서 제명된 김대호(관악갑)·차명진(부천병) 후보 사례가 대표적이다. 당시 통합당은 공식선거운동 첫 판세 분석에서 '우세'로 분류한 전국 지역구 50여곳을 막말 논란 이후 경합 또는 열세로 재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 관계자는 21대 총선 참패 후 열린 토론회에서 "선거 일주일 전까지 지역구 130석이 가능할 것으로 봤다"고 말했다. 당시 통합당은 지역구 84석을 확보했다. 단 일주일 만에 예측 대비 46석이 증발한 셈이다. 정치권이 선거철마다 내부 입단속에 주력하는 배경이다.
22대 총선을 앞두고도 여야는 수백·수천표 차이로 승부가 갈릴 전국 접전지를 50여곳으로 예상했다. 국민의힘은 과거 막말 논란이 불거진 장예찬(부산 수영)·도태우(대구 중남) 후보 공천을 취소하고 이른바 '이대생 미 장교 성상납' 발언으로 논란이 된 민주당 김준혁(경기 수원정) 후보 등에 대한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민주당도 자당을 향한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의 '쓰레기'·'개 같은 정치' 등의 발언을 막말로 규정하는 등 연일 양측의 네거티브 공방이 고조되고 있다. 황태순 정치평론가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깜깜이) 이전의 논란이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면 남은 기간 선거에 충분히 영향을 줄 수 있다"면서 "당의 발목을 잡는 아픈 부분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