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2금융권 PF 규모 손실만 최대 14조…커지는 충당금에 허리 휜다

입력 2024-04-16 05:00수정 2024-04-16 07:4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신평 '2금융권 스트레스 테스트'
캐피털업종 손실 3.5조~6조 전망
충당금 실제 적립은 크게 못미쳐
나이스신평 '2금융권 PF 손실'
캐피털 5조·저축은행 4조 추정
저축은행 작년 적자로 손실폭 늘 듯

부동산 경기가 급격히 추락할 경우 캐피털업권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합산 손실이 최대 6조 원대에 이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 일부 저축은행의 경우 금융당국의 부실 PF 사업장 재평가가 조만간 공개되면 본격적인 구조조정 타임이 시작될 것이란 전망도 제기됐다.

15일 한국신용평가는 온라인 세미나를 개최해 ‘제2금융권 업권별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를 공개했다. 한신평은 캐피털업종을 부동산 PF로 인한 후폭풍이 가장 클 것으로 봤다.

캐피털사들의 지난해 말 9월 말 합산기준 부동산 PF 익스포저(노출액)는 총 28조6000억 원이다. 본PF 16조5000억 원, 브리지론 12조 원 규모로 구성됐다.

한신평은 스트레스 테스트를 위해 3가지 상황을 가정했다. 1안은 현 상황이 지속되면서 정책 효과가 나타나는 부동산 경기 연착륙 상황, 2안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경기가 급격한 저하에 직면했던 수준과 같은 경착륙 상황, 3안은 대규모 부실이 발생했던 외환위기 당시의 부도율을 본PF 부도율에 적용한 극단적인 상황이다.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예상 손실 규모는 1안의 경우 3조5000억 원, 2안은 4조6000억 원, 3안은 6조1000억 원이다. 각각 캐피털업권 전체 부동산 금융 익스포저 대비 13.4%, 17.3%, 23.2%에 해당하는 규모다.

캐피털사의 신용등급별로 손실률을 계산하면 A급 이하에서는 최소 16.2%에서 최대 27.6%까지 예상되지만, AA급에서는 11.1∼19.6% 수준으로 줄어든다. 오유나 한신평 연구원은 “극단 상황에서는 30%에 가까운 손실률이 예상되고 가정별 손실률 격차도 크게 나타나고 있다”고 했다.

손실부담을 자기자본 규모와 비교하면 1안의 경우 11.5%, 2안은 16.2%, 3안은 23.4%로 집계됐다. A급 이하의 경우 자기자본 대비 손실규모가 16.3∼33.2%로 AA급(7.4∼15.2%)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기자본 대비 손실부담이 15%를 상회하는 업체 수는 1안에서는 7개에 불과했지만 2안에서는 11개로, 3안에서는 15개로 늘어나는 것으로 관측됐다.

캐피털사들의 실제 충당금 적립 수준은 스트레스 테스트로 도출된 잠재손실 규모에 크게 못 미쳤다. 잠정손실 대비 충당금 적립 수준은 1안의 경우 39%였으나 2안은 30%, 3안은 22%로 모두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오 연구원은 “부동산 경기 부진이 지속될 경우에는 수익성이 급격하게 저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며 “지난해 영업이익 2조8000억 원에서 상황별로 약 2조 원에서 5000억 원까지 수익성의 저하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A급 이하 캐피털사의 경우 극단적인 2안 상황에서는 합산 기준 영업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전날 발표한 2금융권의 부동산 PF 손실 현황 관련 보고서를 통해 2금융권 예상손실액이 최대 13조8000억원으로 추정했다. 업권별로는 캐피 5조 원, 저축은행이 4조8000억 원, 증권사 4조 원 등이다. 이 추정치는 경매시장에서 감정평가액 대비 최종 낙찰가율 하위 25%를 기준으로 한 가장 보수적인 값이다.

금융감독원이 악성 사업장을 적극적으로 정리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손실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지는 모양새다. 금감원은 이달 말까지 부동산 PF의 사업성 평가 기준을 기존 3단계 체제에서 4단계로 개편하기로 했다. ‘양호-보통-악화 우려’에 ‘회수의문’을 추가해 세분화하는 것이다.

금융당국은 새로운 평가 기준에 따라 사업장을 재분류해 하반기 중 악화 우려나 회수의문인 사업장에 대해서는 경·공매 등을 통한 부실 정리를 진행하거나 사업 재구조화 계획에 대한 이행 상황을 점검할 방침이다. 새로운 자금을 투입해 사업을 무리하게 진행하는 것보다 사업성이 있는 곳 위주로 가격을 재책정해 신규 투자를 유치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판단에서다.

무엇보다 지난해 적자를 기록했던 저축은행의 손실 폭이 더 확대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가장 크다. 자본 여력이 있는 계열사의 도움을 기대할 수 있고 지난해 실적도 양호했던 증권사나 캐피과는 상황이 다르다는 것이다. 나이스신용평가의 분석 결과, 보수적 시나리오에서 지난해 5633억 원이었던 저축은행 업권 순손실 규모가 2024년 최대 2조2000억 원으로 불어날 것으로 추정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