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득층과의 소득 격차도 다소 감소
소득의 50.7%인 276만 원 소비로 지출
월평균 가구 총소득이 2년 새 10% 증가하며 500만 원 중반대를 기록했다. 저소득층 소득 증가율이 가장 높았는데, 이로 인해 저·고속득 간 소등 격차는 다소 감소했다.
17일 신한은행이 발표한 '2023 보통사람 금융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20~64세 경제활동인구의 월평균 가구총소득은 544만 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521만 원 보다 23만 원(4.4%)늘어난 것이다. 2021년(493만 원)과 비교하면 최근 2년간 51만 원(10.3%) 늘었다.
모든 가구소득 구간(1~5구간)의 월평균 총소득이 2021년부터 매년 늘어난 가운데 증가 양상은 2022년과 2023년이 다르게 나타났다.
2022년에는 가구소득 구간이 높을수록 소득이 많이 증가한 반면, 지난해에는 저소득층인 1~2구간의 증가율이 높았다. 1구간, 2구간의 월평균 총소득은 2022년보다 각각 6.6%, 4.7% 늘어나 195만 원 332만 원을 기록했다.
고소득층인 4구간, 5구간은 각각 4.1%, 4.3% 증가하는 데 그쳤다. 4, 5구간의 총소득은 각각 635만 원, 1085만 원을 기록했다.
중소득층인 3구간(475만 원)의 소득 증가율은 3.7%로 1~5구간 중 가장 적었지만 2022년 증가율에 비해 1.2%포인트(p) 늘어났다.
1구간의 소득 증가율이 5구간의 소득 증가율보다 커지면서 1~5구간의 소득 격차는 소폭 줄었다.
지난해에는 월평균 총소득 544만 원 중 50.7%인 276만 원을 소비에 지출했다. 소득 증가로 지출 비중은 전년과 유사했다.
물가 상승으로 소비액이 전년보다 15만 원 증가했고, 2022년 처음으로 소득의 10%를 차지했던 부채상환은 2만 원 더 늘었다. 2022년에 3만 원 줄었던 저축ㆍ투자액은 5만 원 늘며 소득 내 비중을 유지했다.
2022년에는 5만원 늘었던 예비자금은 1만원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여전히 소득의 20%대였다.
지난해 월평균 가구 총소득은 전년 보다 4.4% 늘었지만 소비 지출은 5.7% 증가하며 소득보다 소비 증가율이 더 컸다.
지난해 기본 생활비인 식비, 교통ㆍ통신비, 월세ㆍ관리비공과금 지출이 전체 소비의 과반을 차지했다. 특히 식비, 월세 지출이 크게 늘었다. 소비액 비중이 가장 큰 식비는 꾸준히 증가했다. 지난해에는 전년보다 6만 원 늘며 60만 원을 넘어섰다.
월세ㆍ관리비ㆍ공과금은 4만 원 늘어 35만 원을 지출했다. 2021년부터 13만~14만 원을 유지하던 용돈은 3만 원 늘어 17만 원을 지출했다. 교통ㆍ통신비, 교육비, 의류ㆍ패션잡화ㆍ미용비, 모임 회비는 각각 1만 원 증가했다.
의식주 중 가장 큰 소비를 차지하는 항목은 식비였다. 1~2구간은 4만 원, 3~5구간은 6만 원 더 늘었다. 주거비 또한 모든 소득구간에서 2만~5만 원 늘었다.
보고서는 "월세와 관리비 공과금이 늘어난 이유는 전기·가스요금이 급격히 오른 영향이 반영됐기 때문"이라며 "주거비의 경우 전세사기 불안으로 인한 월세 수요 증가, 공공요금 인상 등으로 증가 한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번 보고서는 전국, 만 20~64세 경제활동자 1만 명을 대상으로 이메일 조사를 통해 소득과 지출, 자산과 부채, 저축과 투자 등의 경제 활동을 분석했다. 본 조사의 표본은 2023년 2분기 통계청의 20~64세 취업자 분포에 따라 층화 추출법을 활용해 성별, 연령, 지역, 직업의 모집단 구성비를 고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