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수입 의존도 높은 시장…한국 기업 기회 무궁무진”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대표 제품을 들고 중남미 현지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중남미 의약품 시장은 한국의 2배에 달하는 규모를 자랑하며, 고령화와 경제 수준 향상으로 가파른 성장 폭을 보이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파트너사와 손을 잡고 순조롭게 현지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17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최근 보령은 멕시코에서 ‘듀카브플러스’를 출시하기 위한 허가 절차를 밟고 있다. 듀카브플러스는 보령이 개발한 고혈압 치료제 ‘카나브’에 기반을 둔 고혈압 복합제다. 보령은 지난해 현지 파트너사 스텐달과 멕시코에서 듀카브플러스 발매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다.
보령은 10년 전부터 중남미 시장에 공을 들여왔다. 특히 멕시코에는 2014년 현지 제품명 ‘아라코’로 카나브를 출시했다. 이어 2016년 카나브플러스(현지 제품명 디아라코), 2019년 듀카브(현지 제품명 아라코듀오), 2020년 투베로(현지 제품명 아라코 프레) 등을 차례대로 진출시켰다. 이번 듀카브플러스 허가가 성사되면 현지에서 카나브 패밀리의 라인업이 더욱 강화되는 셈이다.
대웅제약도 자체 개발 신약을 들고 중남미 시장에 발을 들였다. 15일 멕시코 의약품 당국에 당뇨병 치료 신약 ‘엔블로’의 품목허가신청서(NDA)를 제출했다. NDA에는 국내 임상 자료를 활용해 현지에서 별도의 임상은 수행하지 않으며, 내년까지 정식 출시한다는 목표다. 대웅제약은 제품 출시를 준비하기 위해 지난해 현지 기업 목샤8과 수출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엔블로에 앞서 ‘펙수클루’는 이미 멕시코, 에콰도르, 칠레 등에서 품목허가를 얻어 출시를 준비 중이다.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개발한 P-CAB 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로, 현재까지 한국과 필리핀 등 2개국에 출시된 상태다. 대웅제약의 대표 제품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는 이미 2015년 프로바이오메드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멕시코에서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2020년에는 브라질에서도 허가되면서 중남미에서 영역을 넓히고 있다.
HK이노엔은 ‘케이캡’을 앞세워 중남미 시장에 나섰다. 케이캡 역시 펙수클루와 같은 P-CAB 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로, 국내에서는 해당 계열 약물 시장에서 독보적인 1위 자리를 지켜왔다. HK이노엔은 지난 2월 칠레 공중보건청(ISP) 산하 국립의약품청(ANAMED)으로부터 현지 제품명 ‘키캡(Ki-CAB)’으로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HK이노엔은 2018년 중남미 지역 기업인 카르놋과 케이캡정 완제품 수출계약을 체결하고 중남미 진출을 준비해 왔다. 지난해 5월에는 멕시코, 10월에는 페루에 각각 케이켑을 출시했으며, 앞서 2022년에는 브라질 대형 제약사 유로파마와 기술수출 계약도 성사시킨 바 있다.
주요 제약사들이 중남미 시장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시장 규모가 크고, 성장 가능성도 높아서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자료를 보면 중남미 의약품 시장 규모는 연간 72조 원에 달해 국내(29조8595억 원)의 2배 이상이다. 브라질은 2026년까지 1274억 헤알(약 33조 원)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남미 최대 의약품 시장이다. 멕시코, 콜롬비아도 해마다 1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중남미 지역 의약품 수요가 증가세인 만큼, 현지에 진출한 K-제약·바이오기업들의 낭보가 이어질 전망이다.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장은 “중남미 시장은 의약품 수요에 비해 ‘빅파마’로 꼽을만한 기업이 없고, 연구개발 인프라도 부족하다. 자체 생산 역량도 다소 부족한 상태이기 때문에 수입 의약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편”이라며 “한국 기업들에 기회가 상당히 많은 매력적인 시장이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