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내수 침체에서 유발된 '헐값 공세'와 미·중 무역 전쟁 등 중국발(發) 복합 리스크가 우리 경제를 위협하고 있다. 새로운 시장 개척과 수입처 다변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8일 양평섭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팀 초청연구위원은 "전 세계는 산업 재편 과정에 있고, 중국은 저가 공세 단계를 넘어 하이테크(첨단) 기술 제품과 같은 높은 기술력으로 밀어붙이고 있다"며 "특히 디지털 전환, 그린 전환 등 모든 산업 부문에서 중국이 경쟁력을 갖춰가고 있어 우리는 미래 산업까지 위협 받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황용식 세종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중국의 초격차가 우리한테는 가장 큰 위협"이라며 "산업의 품목이나 영역에서 우리나라와 겹치는 부분이 많고, 침범하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중국을 대체할 시장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최근 글로벌 기업 삼성전자도 중국 특유의 '애국 소비'와 반한 감정으로 중국 시장에서 고전하게 되자 인도와 동남아시아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현대차그룹 역시 국제 정세 불확실성이 큰 중국 내 자산을 줄이고 동남아로 생산 거점을 옮기고 있다.
양 연구위원은 "중국에 있던 한국 기업 공장들이 베트남 등 인건비가 저렴한 시장을 찾아서 가고 있다"며 "인도네시아나 아직 발견하지 못한 개발도상국들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전문가들은 미·중 갈등 속에서 우리나라는 양측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양자택일식' 논리를 지양해야 한다고 경고한다.
박병광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미·중 패권경쟁과 우리의 대응 방향' 보고서를 통해 "미·중 무역 분쟁은 단기간에 끝날 사안이 아니고 단순한 무역·통상 분쟁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이어지는 패권 경쟁"이라며 "우리나라는 어느 한쪽에 집중하기 어려운 지정학적·역사적·정치경제적 배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하는 대외전략을 수립하면서도 중국에 대해서는 '제한적 손실'을 외교적 목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했다.
양 연구위원도 "미국과 중국 둘 다 한국과 떼 놓을 수 없을 만큼 중요한 국가"라며 "반도체만 예를 들어도 원천 기술 장비는 모든 미국에 의존하고, 시장은 중국에 의존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나라 해외 투자 기업들의 40%, 전기·전자산업 기업들 50%가 중국에 있는 상황"이라며 "무조건적으로 미국을 따라는 것은 위험하면서도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양 연구위원은 "미·중 갈등이 언제까지 갈진 모르지만, 전 세계 글로벌 공급망이나 밸류체인 자체를 바꿀 수도 있다"며 "앞으로는 '안미경중'(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이 아니라 안보는 미국, 경제는 세계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반면 미국과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해결책이 될 수도 있다는 시각도 나온다.
황 교수는 “과거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모호하게 스탠스를 취했던 전략은 이제는 효과적이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중국 산업 경쟁력이 이미 위협적인 수준까지 올라왔기 때문에 지금은 외교나 무역을 하는 데 있어 미국과 연대를 강화하는 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