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 편입 땐 최대 90조 국내 유입
국채·외환시장 안정 '마중물' 기대
지난 2월 경상수지가 68억6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10개월 연속 흑자 행진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한국은 원·달러 환율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한 개입에 나설 재원과 수단을 보유하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하지만 원·달러 환율 1400원대 진입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미국발 ‘피벗’(통화정책 전환) 지연 우려와 ‘킹달러 ’(달러 강세)가 원화를 집어삼키고 있어서다.
시장에서는 세계 3대 채권지수인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자본 리쇼어링(Re-shoring) 등과 같은 ‘달러화 자금 조달원’의 다양화를 주문하는 목소리에 힘이 실린다.
정부가 ‘글로벌 스탠더드’를 내세우며 지난해 외국인 국채소득 비과세, 투자자등록제(IRC) 폐지에 이어 최근 채권투자 제도개선에 속도를 낸 것도 외환시장을 안정시키고, 물가 급등세까지 잡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1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382.20원에 마감했다. 연초 대비 7.3% 평가절하됐다. 달러 대비 원화의 가치 하락 폭은 더 깊다. 같은 기간 7.7% 떨어졌다. 위안화(-2%), 유로화(-3.6%)는 물론이고, 전쟁 중인 러시아의 루블(-5.0%), 이스라엘의 셰켈(-4.9%) 보다도 높은 편이다.
국제결제은행(BIS)이 평가한 한국의 실질실효환율 지수는 2월 말 기준 96.7(2020년=100)을 기록했다. 실질실효환율은 한 나라의 화폐가 상대국 화폐보다 실질적인 구매력을 얼마나 가졌는지를 보여주는 환율로 100을 넘으면 고평가, 100보다 낮으면 저평가됐다고 본다. 우리 원화의 실질 가치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다섯 번째로 저평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원화는 OECD 37개 회원국 중에서 일본(70.3), 튀르키예(90.2), 노르웨이(95.3), 이스라엘(95.6)에 이어 다섯 번째로 낮았다.
예견된 수순이었다. 한·미 간 기준금리 역전차는 역대 최고 수준인 2%포인트(p)까지 벌어진 채 2년째 이어지고 있다. 고금리가 지속하면서 국내 내수 경기 곳곳에서는 파열음이 새어 나오고 있는 반면, 견고한 미국의 달러가치를 버텨내기에는 한계에 다다랐다.
전문가들은 외환시장 안정을 위한 근본 대책으로 ‘달러화 자금 조달원 다양화‘를 주문한다. WGBI를 그중 하나로 거론한다. WGBI를 추종하는 펀드 자금 규모는 2조5000억 달러(약 3371조 원)에 달한다. 블룸버그는 한국이 WGBI에 가입할 경우 이 중 80조∼90조 원이 국내로 유입되고, 국채에 대한 안정적인 중장기 투자가 늘어나면서 국채 및 외환시장 안정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장기적으로 달러 약세에 기댄 캐리트레이드 자금도 늘어날 수 있다. 또 한·미 기준금리 격차로 인한 자본 유출 위험도 줄일 수 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이미 채권 쪽에서는 WGBI 편입을 기대하고 상당 수준 자금 흐름이 강화하고 있다”며 “단기 재정거래 유인이 아닌 중장기 포트폴리오 투자성 자금이 유입되면서 외국인 평균 듀레이션도 6년 내외까지 확대했다. 환율의 상대적인 안정세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연기금이 원화채권을 매수하기 위해 ‘달러를 보내서, 원화를 매수’하면 국내 시장에 달러가 지속적으로 유입돼 원화 강세에 도움이 된다. 한 기관투자자는 “글로벌 포트폴리오 매니저 중에는 그동안 한국채를 사고 싶어도 WGBI 편입 종목만 사도록 한 내부 컴플라이언스 때문에 못 사는 경우가 다수 있었다”고 했다.
‘자본 리쇼어링’ 성공 경험도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88억1290만 달러(재투자수익수입) 규모의 달러가 유입됐다. 해외 자회사가 국내로 보내는 배당금의 95%에 세금을 부과하지 않도록 법인세를 완화한 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