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투자 적극 유치…5년간 1조 원 이상 투자
1만3000명 전문인력·250개 이상 전문기업 육성
인공지능(AI)이 산업의 양태를 바꿀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정부가 2030년까지 AI 제조 생산성을 20% 이상 높인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AI 자율제조 도입 확산과 AI 자율제조 핵심역량 확보, 생태계 진흥 등 3개 전략을 축으로 올해 1000억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국내 기업‧학계‧관계기관 AI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AI 시대의 신산업정책' 위원회 출범식을 열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과 김기남 한국공학한림원 회장이 공동위원장을 맡는 'AI산업정책위원회'는 AI가 보편화될 시대에 우리 산업의 변화상을 전망하고, AI를 활용한 산업 혁신을 위한 정책 과제들을 도출하기 위해 마련됐다.
산업부는 △자율제조 △디자인 △연구개발 △에너지 △유통 △AI 반도체 등 6대 분야별 전략을 마련, 위원회를 통해 매월 발표할 예정이다.
이날 출범식에서 산업부는 첫째 과제인 'AI 자율제조 전략 1.0'을 발표했다.
AI 자율제조란 'AI를 기반으로 로봇·장비 등을 제조 공정에 결합해 생산의 고도화와 자율화를 구현하는 미래 제조환경'을 말한다. 인구구조 변화, 탄소중립, 생산성 저하 등 제조업을 둘러싼 난제들을 해결할 핵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전략은 AI 자율제조 도입 확산, AI 자율제조 핵심역량 확보, 생태계 진흥의 3개 전략을 축으로 올해에만 1000억 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대책을 통해 현재 9% 수준인 AI 자율제조확산률을 2030년 30% 이상, 제조 생산성을 20% 이상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먼저 산업부는 '200대 AI 자율제조 선도 프로젝트'를 단계별로 추진한다.
현재 우리 제조업의 지능화 수준은 대부분 기초 단계에 머물러 있어 이번 선도 프로젝트를 통해 제조 현장의 디지털 전환 수준을 고도화 단계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올해는 지방자치단체 공모를 통해 10개 사업을 우선 선정해 100억 원의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사업 선정 시 지역 특화산업 등 지자체 수요도 적극 반영할 예정이며 2028년까지 지원대상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선도 프로젝트에서 축적한 데이터와 기술이 집약된 '업종별 첨단 AI 자율제조 공장 모델'도 구축도 검토 중이다.
이와 함께 기업이 AI 자율제조 시스템 구축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로봇, SW 등의 AI 자율제조 테스트베드도 구축한다. 특히 AI 결합을 통해 생산 고도화의 핵심 역할을 하는 로봇 분야는 올해부터 2028년까지 국가 로봇 테스트필드 사업을 신규로 시작해 2000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업종별 특성을 반영한 자율제조 테스트베드 구축도 검토 중이다.
아울러 업종별 AI 자율제조에 필요한 핵심 역량 확보를 위해 민간 투자를 적극 유치해 5년간 1조 원 이상을 투자한다. 정부와 민간의 연구개발(R&D) 자금은 기계·로봇, 조선, 이차전지, 반도체 등 주력 제조업의 공정 자동화, 디지털 트윈 등 가상제조, 유연 생산 등에 집중 투입될 계획이다.
업종별 특화 기술 외에도 AI 자율제조의 3대 공통 핵심기술인 '산업 AI, 장비·로봇, 통합솔루션 개발'을 위해 올해 말까지 기술 로드맵을 마련하고 3000억 원 규모의 예타를 기획해 추진할 계획이다.
AI 자율제조 친화형 산업 생태계 조성도 적극 지원해 1만3000명의 전문인력과 250개 이상의 전문기업(AI 자율제조 솔루션 등 제공하는 기업)을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AI 자율제조 확산의 걸림돌이 될 법·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작업반도 상반기 중 출범한다. 프라운호퍼 등 선진 연구기관과 국내 연구단체·학계 간 업무협약(MOU)도 체결해 공동 연구개발, 표준 마련, 실증 등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안 장관은 "저출산에 따른 인력 부족, 생산성 정체, 경쟁국의 추격과 글로벌 공급과잉 등 다양한 위기 요인에 직면한 우리 산업에 AI를 통한 혁신이 필수적"이라며 "AI 자율제조 전략을 꼼꼼하고 강력하게 추진해 우리 제조업의 혁신은 물론 대한민국 산업의 대전환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