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패권 도전한 日, 라인야후 사태 불 지폈다

입력 2024-05-16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일본이 결국 인공지능(AI)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관점에서 라인야후를 확보하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일본 정부의 ‘라인야후’ 지분 매각 압박 사태에 대한 국내 전문가의 진단이다. 15일 ‘공정과 정의를 위한 IT 시민연대’(IT 시민연대) 준비위원장인 위정현 중앙대학교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AI를 어디에 접목할까’가 이슈가 됐다. 일본 역시 라인야후라는 플랫폼을 확보하면 이 플랫폼이 갖고 있는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고 또 서비스하는 메신저, 이커머스 등에 AI를 결합해 경쟁력을 가져가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네이버의 라인야후 사태는 일본 기업과 정부의 ‘플랫폼’ 사수 움직임으로 보이지만, 내면에는 데이터 주권을 확보해 ‘AI 전쟁’에 대응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는 관측이 나온다. AI 기술을 고도화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해야 하는데, 라인야후라는 플랫폼은 데이터가 쌓여있는 창고이기 때문이다.

미국, 중국, 한국 등에 AI 기술 경쟁력이 뒤처진 일본은 최근 AI에 야심을 드러내고 있다. 야카와 준이치 소프트뱅크 최고경영자(CEO)는 9일 실적발표에서 “자체 AI를 개발하겠다”며 “AI 서비스와 차세대 인프라 구축 등에 투자금을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소프트뱅크그룹은 AI 프로젝트에 약 88조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반도체 설계 자회사 암(ARM)에서 AI 칩을 개발하고 미국, 유럽, 아시아 등에 이를 탑재한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범용인공지능(AGI) 개발도 추진 중이다. 일본 정부도 대규모 지원에 나섰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이날 소프트뱅크가 AI 개발을 위한 슈퍼컴퓨터를 정비하는 데 최대 3700억 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때 AI 기술을 고도화하기 위해 필요한 건 데이터 주권이다. 라인 플랫폼에는 AI 전쟁에서 실탄이 되어줄 ‘데이터’가 깔려 있다. 일본에 없는 대규모언어모델(LLM)은 라인을 통해 기술을 확보할 수도 있다. 또 AI를 이 플랫폼에 입혀 동남아시아 등으로 국경을 넘어 서비스를 확장할 수도 있다. 라인은 현재 일본뿐 아니라 대만, 태국 등 전 세계 2억 명이 넘는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실제로 일본뿐만 아니라 AI 패권 전쟁을 벌이고 있는 국가들 사이에서는 ‘자국 데이터 보호주의’가 강해지고 있다. 지난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틱톡 퇴출 법안에 공식 서명했다. 중국 정부가 개인정보를 무단 수집해 활용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틱톡 측은 즉각 소송을 예고했으며, 중국의 애플 앱스토어에서 미국의 빅테크 메타가 운영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왓츠앱과 스레드를 삭제했다.

또 중국은 인터넷에서 데이터 처리를 규제하는 네트워크안전법, 데이터안전법, 개인정보보호법 등 ‘데이터 3법’을 시행했다. 주요 데이터의 역외 이전 시 중국 정부의 안전평가 취득을 규정하는 ‘데이터 역외이전 안전평가방법’ 등도 도입했다.

유럽연합(EU)은 미국 플랫폼인 아마존, 메타, 애플 등의 반경쟁 행위를 규제하는 디지털 시장법(DMA)을 제정했다. 2018년부터는 EU 각 회원국서 시행된 개인정보보호법(GDPR)을 통해 EU 시민의 데이터를 활용하는 경우 지켜야 할 각종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