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고점 대비 절반 가까이 줄어
부자 위한 명품 브랜드 유치로 활로 모색
인플루언서 등 젊은 부유층도 중시
일본 백화점의 주 소비층 대세가 기울고 있다. 소비의 원동력이었던 중산층이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산층이 가난해지면서 이들을 주력으로 했던 중저가 매장이 줄줄이 폐점하고 있다. 이에 일본 백화점들은 활로를 찾고자 부유층을 공략하기 위한 명품 브랜드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24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보도했다.
일본의 대표적인 백화점 중 하나인 세이부백화점 본점에는 중저가 여성복, 가구 매장 대다수가 영업을 종료했다. 도쿄도 이케부쿠로역의 상징인 14층의 백화점에는 “오랜 기간 사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라고 적힌 폐점 안내문이 가득 찼다. 일본 대형 유통기업 세븐&아이홀딩스는 지난해 9월 실적이 부진한 자회사이자 세이브백화점을 운영하는 소고세이부를 미국 투자펀드에 매각하기도 했다.
일본백화점협회(JDSA)에 따르면 지난해 백화점 매출은 5조4211억 엔(약 47조 원)으로, 버블 경제 시기 정점에 달했던 1991년 9조7130억 엔에 비하면 절반 가까이 줄었다. 백화점의 효자 품목 의류 매출은 같은 기간 약 4조 엔에서 1조4600억 엔으로 감소했다. 중저가 브랜드도 타격이 크다. 일본 의류 브랜드 온워드카시야마의 전체 매출에서 백화점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38%로 15년 만에 반 토막이 났다. 닛케이는 중산층이 유니클로 등 저가 의류 매장이나 쇼핑센터, 아울렛 등으로 빠져나갔다고 진단했다.
JDSA의 회장 요시모토 다쓰야는 “중산층이 많았던 20년 전에는 옷과 정장, 연말연시 선물이 주력이었다”며 “지금은 그런 소비층이 사라져 어떻게 반전을 꾀할 것인지가 백화점의 과제”라고 설명했다.
일본 노동정책연구연수기구(JILPT)에 따르면 중산층 비율은 2018년 58%까지 축소됐다. 1980년대 중반과 비교하면 그 비율은 약 6.5%포인트(p) 낮아졌다. 심각한 고령화로 현역에서 은퇴한 가구가 많아졌고, 2040년 이후 ‘단카이 주니어 세대(일본에서 1970~74년 출생한 세대)’가 65세 이상이 되면 중산층이 더욱 축소될 전망도 있다.
반면, 경기 불확실성에도 고소득층의 자산은 늘어나고 있다. 싱크탱크 노무라종합연구소에 따르면, 자산이 최소 1억 엔 이상인 부유층은 13년간 지속해서 자산이 증가했다. 전체 경제가 타격을 받은 코로나19 기간에도 부자들의 자산은 늘었다. 그동안 초저금리가 계속된 일본에서는 예금 대신 주식과 투자 등으로 ‘부자가 더 부자 되는 상황’이 벌어졌다고 닛케이는 설명했다.
이에 세이부백화점 이케부쿠로점은 중저가 매장 대신 루이뷔통, 에르메스 등 명품 브랜드 등을 집중적으로 유치할 계획이다. 오사카에 있는 한큐한신백화점 본점은 약 1000㎡ 규모의 ‘VIP 라운지’를 신설한다. 또 일본 백화점들은 기업가, 인플루언서 등 젊은 부유층도 새로운 고객으로 주목하고 있다.
기록적인 엔저로 물밀 듯이 밀려오는 해외 관광객들도 백화점의 주요 공략대상이다. 지난해 백화점 면세 매출은 3484억 엔으로 해당 통계를 시작한 2014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