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을 공시한 기업들의 주가는 상승했지만, 상승폭이 시장 기대를 밑돌면서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시장 전문가들은 밸류업 공시 확산을 위해 세제혜택, 정부의 일관된 정책성 등 기업 참여 유도를 위한 다양한 마중물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한 상장사들의 주가는 공시 당일 대체로 약보합세를 보였다. KB금융(5월 27일·-0.78%), 키움증권(5월 28일·-0.63%), DB하이텍(6월 14일·-0.99%), 콜마홀딩스(6월 20일·-0.47%) 등의 주가가 하락했고, 에프앤가이드(5월 31일·2.26%)와 우리금융지주(6월 24일·1.76%)만 유일하게 당일 상승 마감했다.
밸류업 공시 전후 주가 상승률을 살펴봐도 제한적 흐름이 나타난다. 25일 기준 키움증권은 밸류업 공시 후 0% 상승에 그쳤고, 에프앤가이드는 11% 하락했다. KB금융과 우리금융지주는 3% 소폭 상승했다. 단, DB하이텍과 콜마홀딩스는 27%, 17% 급등했다. 이들 종목의 주가 상승에는 밸류업보다 업황이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DB하이텍은 엔비디아발 글로벌 반도체 랠리 훈풍에, 콜마홀딩스는 여름철 선케어 시장 수혜 기대감에 주가가 뛰어올랐다는 해석이다. 저(低)주가순자산비율(PBR) 기업들의 주가도 정부가 밸류업 프로그램 도입을 발표한 1월 저점 대비해선 크게 올랐지만, 밸류업 1차 랠리 이후 움직임이 둔해졌다.
밸류업 공시를 바라보는 기업들은 난처하다. 특히 덩치 큰 대기업들은 그야말로 가시방석이다. 밸류업 공시를 해봐야 본전, 안 하면 눈치 보이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특히, 최근 경영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미래를 예측하고 주주환원책 등과 같은 확정적 내용을 공시하겠다는 건 부담이다. 주주환원과 경영권 방어 부담(자사주 소각)이 늘면 투자 여력은 줄 수밖에 없다.
밸류업 공시에 신경 쓸 여력이 안 된다는 점도 동력을 떨어뜨린다. 국내 주요기업들은 그야말로 전쟁과도 같은 경영환경에 직면했다. 삼성전자는 고대역폭메모리(HBM) 검증 테스트 결과가 시장 기대보다 지연되는 데다가 창사 이래 처음으로 노조가 파업을 선언하는 등 겹악재를 맞았다. 재계 2위 SK는 최태원 회장의 1조3800억 원 규모의 재산분할 법원 결정으로 지배구조 리스크가 불거진 상황이다. 현대차그룹은 노조가 파업을 결의하며 찬반 투표에 돌입했고, 최근 정몽구 명예회장의 건강 이상설이 불거지며 계열사 주가가 요동치기도 했다.
국내 대기업 관계자는 “최대한 보수적으로 방향을 잡는다고 해도 금융당국의 눈치가 보이고, 그저 그런 공시를 내놓으면 주주 및 여론의 비판을 감내해야 해 부담이다”라고 토로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핑계가 아니라 정말로 급변하는 경영 환경 변화에 따른 리스크 대응에도 손이 달릴 지경”이라며 “밸류업 공시는 공감하고 좋은 이야기이지만, 기업에 1순위 의제는 아닌 것 같다”고 털어놨다. 교보증권은 “한국회계기준원의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최종안이 의견조회를 거쳐 연말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며 “ESG에 이어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까지 기업들이 할 일이 많아진 상황”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밸류업 공시 확산을 위해 세제혜택 등을 통해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김지현 키움증권 연구원은 “세제 인센티브가 확정되지 않는다면 연초와 같은 강한 상승세가 나타나기는 어려울 수 있다. 저PBR주에 대한 기관, 개인의 매도세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정부의 일관된 거버넌스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비영리기관인 아시아기업지배구조협회(ACGA)는 “윤석열 정부의 거버넌스 정책은 단편적이고 모순적”이라며 “개인투자자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의무공개매수제도 도입, 기업분할 시 소수주주 보호 방안, 전자주주총회 도입 등 일부 거버넌스 개선을 추진했으나 KT·포스코 등 민영화된 공기업의 인사 개입, 재벌총수 사면, ESG 공시 연기 등 거버넌스 개선에 위배되는 조처도 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밸류업 프로그램에 포이즌필이나 복수의결권 주식 등을 포함하기 위해 재벌들이 로비를 벌여 기존 지배체제를 더욱 공고히 하고 가치평가를 악화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고 꼬집었다.
밸류업이 성공적으로 안착하려면 국민연금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당부도 나온다.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일본 거버넌스 개혁의 산파역을 일본공적연금(GPIF)이 했는데 철저한 스튜어드십 코드 적용을 통해 일본 자본시장의 투자 문화를 바꿨다. 우리의 국민연금도 기업 거버넌스 개선의 전도사가 되어야 할 것이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