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금융권 부실채권 ‘눈덩이’…1년새 80% 증가

입력 2024-07-24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저축銀 부실채권 전년 대비 80.69%
캐피털 34.98%↑
고금리 부담에 부동산 PF까지
부동산PF 사업성 평가 강화로 2분기 실적 악화 우려

올해 1분기 캐피털사의 부실채권 규모가 1년 새 30%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실채권은 금융사에서 돈을 빌렸다가 원금이나 이자를 3개월 이상 갚지 못한 고정이하여신을 의미한다.

23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51개 캐피털(할부금융·리스)사의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4조6171억 원으로 전년 동기(3조4205억 원) 대비 34.98% 증가했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영향이 남아있던 2001년 말(7조8151억 원)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주요 캐피털사의 부실채권 규모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메리츠캐피탈의 1분기 고정이하여신은 451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6.39% 늘었다. 같은 기간 한국캐피탈은 85.06% 증가한 1323억 원을 기록했다. 이 외에도 △우리금융캐피탈 72.92% △하나캐피탈 56.30% △신한캐피탈 55.56% △오케이캐피탈 42.63% 등 주요 캐피털사의 고정이하여신은 증가했다.

저축은행 업계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국내 79개 저축은행의 부실채권 잔액은 올해 1분기 10조4629억 원으로 전년 동기(5조7906억 원) 대비 80.69% 급증했다.

캐피털사와 저축은행은 부동산 시장 활황 속 부동산 대출을 키워왔다. 그러나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본격화되고 시장이 침체하자 부실 직격탄을 맞고 있다.

이들은 충당금을 적극 확대하는 등 자체 부실 관리에 들어갔지만,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금융당국은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을 11% 이상으로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79개 저축은행 중 7개사의 올해 1분기 BIS자기자본비율은 10%대를 밑돌았다. 페퍼저축은행(11.38%), 상상인저축은행(11.31%) 등 상위권 저축은행들도 가까스로 권고치에 턱걸이했다. KB캐피탈의 자기자본비율도 10.14%에 그쳤다.

금융당국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착륙을 위해 부실 사업장에 대한 정리 작업에 들어가는 등 옥석 가리기를 본격화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규모를 지난해 말 기준 약 230조 원 수준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6월 사업성 평가를 진행, 7월 결과를 점검한 후 8월 중 평가결과를 조정할 예정이다.

금융당국이 새롭게 마련한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기준을 적용하는 가운데 ‘부실 우려’ 등급이 대거 나올 것으로 관측된다. 부동산 PF 부실 충격이 회계상으로 대거 드러나기 시작하면 기업 신용등급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신용평가업계도 캐피털사의 실적 악화가 본격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당장 2분기부터 추가 충당금 적립 등 손실 인식 부담이 커질 수 있어서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증권(1조1000억~1조9000억 원), 캐피털(9000억~3조5000억 원), 저축은행(1조~3조3000억 원) 등 부동산 PF 추가 적립 필요 충당금 규모가 최소 3조 원에서 최대 8조7000억 원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나신평은 최근 OSB저축은행의 신용등급을 'BBB·부정적'에서 'BBB-·안정적'으로 강등했다. 키움저축은행과 고려저축은행은 신용등급을 'A-'로 유지했으나 등급전망은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앞서 4월에는 페퍼저축은행의 신용등급을 'BBB·부정적'에서 'BBB-·부정적'으로 내린 데 이어 KB·대신·다올·애큐온저축은행의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한 바 있다.

#PF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