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수혈 통해 '숨통 틔우기' 급선무지만…회의적인 시선 여전
큐텐그룹 계열사인 티몬ㆍ위메프의 판매대금 정산 지연 사태가 해당 업체의 생존은 물론 국내 이커머스 생태계를 뿌리째 흔들고 있다. 카드사와 결제대행(PG)업체, 제조업체 등이 사태 수습에 나서고 있지만 이마저도 역부족인 가운데 피해자 환불과 플랫폼 정상화를 위해서는 자금 확보가 급선무로 꼽힌다. 현재로는 자체적인 유동성 확보를 기대하기 힘든 상황에서 외부 수혈을 통한 해법 찾기가 가능할 것인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6일 이커머스업계에 따르면 티몬과 위메프는 상품 판매와 결제, 환불 등 이커머스로서의 모든 기능이 사실상 마비된 상태다. 사태 이전과 같이 상품 판매에 따른 자금 회전이 불가능해지면서 판매자 정산금을 돌려막는 방식이 불가능하게 된 것이다.
현재로는 피해금 규모나 정산금 규모 등이 워낙 커서 자체 수습은 불가능하고 외부자금을 수혈받는 길 밖에 없다는 관측이 높다. 티몬이 작년 4월 공개한 감사보고서를 보면 2022년 기준 티몬이 당장 동원할 수 있는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80억 원에 불과하다. 해당 업체가 최근 수년 간 1000억 원 안팎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점을 감안하면 1년 여가 지난 현재 현금 동원력은 그보다 더 악화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위메프도 상황이 비슷하다.
현재 당장 자금을 공급받을 수 있는 곳으로는 큐텐그룹 주식을 보유한 기업들이 우선적으로 거론된다. 일단 큐텐의 2대 주주인 미국 몬스터 홀딩스가 있다. 몬스터 홀딩스는 미국계 사모 펀드(PEF) 운용사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와 앵커에퀴티파트너스가 공동 출자해 세운 특수목적법인(SPC)으로 티몬의 대주주였다. 큐텐이 2022년 9월 지분 교환 방식으로 티몬을 인수할 때 주식 81.7% 전량을 내주고 큐텐과 큐익스프레스(큐텐 그룹의 물류 자회사) 지분을 확보했다.
또다른 큐텐 주주인 원더홀딩스도 자금 공급처로 꼽힌다. 위메프 대주주였던 원더홀딩스는 지난해 4월 몬스터 홀딩스처럼 큐텐에 주식을 넘겨주면서 큐텐 지분을 받았다. 이밖에도 2020년 말 큐텐이 발행한 300억원 규모의 교환사채(EB)를 인수했던 PEF 운용사 코스톤아시아, 큐텐 주식 일부를 보유한 NXC(넥슨 그룹 지주사)·넥슨코리아 등도 자금을 수혈할 후보자로 꼽힌다.
업체 관계자는 "회사 유동성을 확보하고자 큐텐그룹 전체가 외부 펀딩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현재로서는 협의 결과를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모기업인 큐텐그룹이나 관계사 등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유동성 확보에 도움을 줄 지를 놓고 회의적인 시선도 여전하다. 당장 모기업 큐텐이 위메프 등 한국 계열사가 보유한 현금 유동성을 갉아먹고 사실상 빈 껍데기로 남겨 이번 미정산 사태를 야기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어서다. 구영배 큐텐그룹 대표는 지난 18일 귀국해 티몬·위메프 대표 등 경영진을 만나 해결을 모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아직까지 별다른 공식 입장을 내놓지는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