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내수 단기적 회복 모멘텀 어려워…내수부진 상당 기간 지속할 것’

입력 2024-08-13 08:4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가 역대 최대 폭으로 증가하면서 연간 100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국세청 국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사업을 접고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개인·법인)는 98만6487명으로 집계됐다. 전년(86만7292명)보다 11만9195명 증가한 것으로 2006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최대폭이다. 폐업 사유별로 보면 '사업 부진'이 48만2183명으로 가장 많았다. 금융위기 당시인 2007년(48만8792명)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많은 숫자로, 전년(40만6225명)과 비교하면 7만5958명(18.7%) 늘어난 것으로 역대 최대 폭 증가다. 업종별로 보면 소매업 폐업이 27만6535명으로 가장 많았고 서비스업(21만7821명), 음식업(15만8279명) 등을 기록했다. 내수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업종의 타격이 큰 셈이다. 이날 서울의 한 거리에 임대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국내 경기가 단기적으로 내수회복 모멘텀이 강해지기 쉽지 않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과거에 비해 수출경기의 낙수효과가 제한적이며, 주요국보다 무형자산 투자사이클이 상대적으로 미약한 등 강한 회복을 제한할 여지가 크다는 설명이다.

13일 iM증권은 "국내 경기가 내우외환에 직면한 모습으로 글로벌 경기에 갑자기 어두운 먹구름이 드리워진 가운데 내수 환경이 좀처럼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국내 내수 부진의 원인은 복합적으로 봤다. 중장기관점에서 고령화 추세, 산업전환 과도기 현상과 더불어 직간접인 차이나 리스크 악영향 등을 들 수 있지만, 단기적인 요인도 무시할 수 없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설비투자 부진 등에 따른 고용시장 냉각, 고물가-고금리 현상 장기화에 따른 자영업자 등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경기 악화 등을 꼽을 수 있다. 여기에 부동산 PF 등 건설경기 침체 장기화 역시 내수 부진에 한몫을 하고 있다는 판단"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국내 증시와 글로벌 증시 간 차별,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 간 차별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배경에도 업종 간 수출차별화와 더불어 내수 경기 부진을 큰 요인으로 지적했다. 2분기 GDP 성장률의 역성장 원인이 민간소비와 설비투자 부진에서 기인한다는 점도 내수부진을 드러내고 있다.

고용시장 회복을 위해서는 ‘수출경기 호조 → 설비투자 확대 → 고용 창출’과 같은 선순환이 나타나야 한다. 그러나 건설 경기 부진 장기화 가능성이 설비투자를 포함한 투자사이클의 강한 회복을 제한할 여지가 크기며, 길어지고 있는 고금리 부담에 따른 이자 등 금융비용 상승은 내수경기 회복을 제한하는 또 다른 요인이다.

박 연구원은 "한은이 글로벌 금리인하 사이클에 동참할 가능성은 크지만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 아파트가격 급등 현상이 금리인하 시점 지연 및 공격적 금리인하의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도 내수 경기회복에 또 다른 걸림돌이 될 전망"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다행히 물가 하락 등으로 소비심리가 회복되고 있고 수출 경기의 경착륙 리스크가 크지 않다는 점 등이 내수경기의 하방 경직성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이라며 "덜컹거리는 내수 흐름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