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어지는 불황에 기업마다 자구책 마련
정부 주도의 구조 개편 필요성 커져
국내 석유화학 산업의 불황이 길어지고 있다.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공급 과잉이 지속되는 데다 전방 수요 회복이 예상보다 느린 탓이다. 개별 기업 차원의 사업 재편을 넘어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구조 개편과 정부 지원책이 시급하단 목소리가 나온다.
3일 유안타증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국내 주요 나프타분해설비(NCC) 업체의 스프레드는 전월보다 5.5% 하락한 277달러로 집계됐다. 수익성 지표인 에틸렌 스프레드(에틸렌 가격에서 원료인 나프타 가격을 뺀 값)는 166달러로, 손익분기점인 300달러를 오랜 기간 밑돌고 있다.
석유화학 업계의 실적 부진은 중국의 자급률 상승과 맞물려 있다. 최대 수요처였던 중국이 대규모 증설을 시작하면서 수출길이 좁아진 것이다. 중국의 석유화학 자급률은 사실상 100%를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발 공급 과잉의 직격탄을 맞은 업계는 실적 반등의 열쇠로 중국의 경기 부양책에 기대를 걸고 있었다. 중국 정부는 4월부터 중고 자동차나 가전제품을 새것으로 교환하면 보조금을 지급하는 ‘이구환신’ 정책을 도입했다. 소비재에 들어가는 범용 석유화학 제품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지만, 효과가 예상보다 크지 않았다. 중국 내 고부가합성수지(ABS) 가동률은 평균 80%에서 지난달 65%까지 급감했다.
석유화학 업체들은 저수익 범용 제품 비중을 줄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LG화학은 3월 스티렌모노머(SM)를 생산하는 여수공장 가동을 중단한 데 이어 NCC 2공장 지분 매각도 추진하고 있다. 롯데케미칼도 지난해 중국 내 범용 제품 공장을 모두 정리했다. 말레이시아 자회사인 LC타이탄 매각도 꾸준히 거론된다. 다만 현재 업황을 고려하면 매수자를 찾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개별 기업 차원의 사업 구조 전환을 넘어 산업 전반의 구조조정이 시급하단 목소리가 나온다. 4월 정부는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협의체'를 출범하고 6월 말까지 종합 대책을 발표하겠다고 했지만 논의가 길어지고 있다.
큰 틀은 고부가가치 중심 사업 전환을 위한 연구개발(R&D)과 인수합병(M&A) 등을 지원하는 내용이다. 하지만 기업마다 처한 상황이나 전략이 달라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구조조정의 필요성은 모두 공감하지만, 아직 구체화된 건 없다"며 "시황이나 제도 변화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찌감치 석유화학 구조조정을 단행한 일본의 경우 정부의 역할이 컸다. 일본 정부는 1983년 ‘특정산업구조개선 임시조치법’을 시행하고 공동 투자, 공동 판매 등을 주도했고, 기업별로 특정 제품에만 주력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