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산업 육성에 지자체 지원 필수” [규제 버퍼링에 울상짓는 혁신기업 ③]

입력 2024-09-25 05:00수정 2024-09-25 17:2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AI허브·핀테크랩·로봇친화도시까지 활발
공간··네트워킹 지원…市 차원 ‘규제혁신 간담회’

▲올해 5월 개관한 '서울 AI 허브' 앵커시설의 모습. (자료제공=서울시)

혁신기업의 둥지 틀기와 인큐베이팅에 지방자치단체의 도움이 큰 힘이 되고 있다.

24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 서울AI허브, 여의도핀테크랩 등 여러 인프라를 구축하고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듣는 자리를 마련하고 있다.

인공지능(AI) 분야 전문지원 기관 ‘서울AI허브’는 기업에 사무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킹 강화를 위해 힘쓰고 있는 곳으로 꼽힌다. 2017년 개관한 서울AI허브는 설립 이래 입주기업 100개 이상, 졸업기업 110개, 멤버십 기업 163개 이상이 거쳐 갔다. 이들의 전체 누적 기업 가치는 2조 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CES 2024에 참여해 메타버스 기반 홈트레이닝 애플리케이션 ‘피바’를 선보인 구스랩스도 서울AI허브의 지원을 받은 기업 중 하나다. 이서희 구스랩스 대표는 “2022년부터 서울AI허브에 입주했는데 사무공간 지원이 가장 감사한 부분”이라며 “초기 스타트업은 현금 소진이 얼마나 되느냐가 생명을 좌우하는데, 입주비를 확 줄여준다는 면에서 스타트업의 생명줄을 연장해주는 셈”이라고 말했다.

여의도에 위치한 ‘서울핀테크랩’도 호평을 얻고 있다. 2019년 문을 연 서울핀테크랩은 올해 8월 기준 99개 기업이 입주해있다. 이들 기업은 최대 3년간 입주 공간을 제공받고 성장단계별 맞춤형 전문 프로그램을 지원받는다.

한국핀테트산업협회 관계자는 “서울핀테크랩의 경우 여의도 중심에 자리 잡고 있어 다른 업계와 미팅 등을 추진하기에 편리하다”라며 “저렴한 금액으로 입주할 수 있어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핀테크 회사들이 함께 입주해 있어 정보를 교환하는 데도 유리하다”고 말했다.

▲서울 테헤란로를 달리는 배달 로봇 '딜리'. (자료제공=강남구)

시는 2026년까지 총 2029억 원을 투입해 ‘로봇친화도시’로의 발돋움을 꾀하고 있다. 시는 로봇기업을 위한 특화펀드를 조성해 연구개발(R&D)·시장 확대 등에 투자하고, 로봇기업과 협력해 공공·민간 서비스 현장에 로봇 도입을 확대하고 있다. 수서 일대에는 2026년에는 ‘서울 로봇 테크센터'를 착공할 예정이다. 강남구도 로봇거점지구 조성 사업을 통해 테헤란로와 선릉역 일대에서 실외 자율주행로봇 배달 관련 실증사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시는 혁신기술 실증을 위해 서울시 전역을 테스트베드로 제공하는 사업도 펼치고 있다. 일례로 엔젤로보틱스가 개발한 하지 보행 보조 ‘웨어러블 로봇’은 기존 병원에서 테스트가 어려웠지만 올해 말까지 서울시립어린이병원에서 실증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

시는 지난해부터 혁신기업들을 한 자리에 모아 ‘규제혁신 릴레이 간담회’도 진행하고 있다. 간담회는 로봇, 바이오, 핀테크, 인공지능 등 4대 신산업 기업들을 대상으로 분기마다 열린다. 또한 기업들에게 변호사, 회계사, 변리사 등 전문가들 51명으로 구성된 규제혁신지원단의 자문, 상담, 컨설팅도 모두 무상으로 지원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기업들의 의견을 수시로 수렴하고 있고, 관련 업계 유관기관도 자주 만나고 있다”라며 “기업의 애로사항을 경청하고, 대정부 건의를 통해 실질적으로 규제 혁신을 만드는 혁신 기술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