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는 세계로 비상하는 'K-산업'을 통한 또 한번의 도약 기회까지 맞았다. 때마침 금융당국도 금융사의 해외 진출 지원을 위해 각종 규제를 없애며 힘을 실어주고 있다. 또 한번의 '퀀텀 점프'를 기회를 맞이하게 된 한국 금융사들의 글로벌 전략을 짚어본다.
“금융회사들은 국내에서 독점산업에 안위하는 것이 아닌 해외로 가서 혁신적인 산업을 펼쳐야 한다.” (2023년 12월,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금융당국이 달라졌다. 지난해 7월 ‘금융회사 해외 진출 활성화를 위한 규제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등 금융사들의 해외진출 지원을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특히 금융당국 수장들은 ‘영업맨’을 자처, 현지 영업에 직접 뛰며 ‘K금융 세일즈맨’이 됐다.
이에 대해 국내 금융사 최고경영자(CEO)들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13일 본지가 주요 금융사 CEO 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금융당국의 지원이 해외사업에 어느정도 도움이 되냐는 질문에 87.5%가 ‘그렇다’고 답한 것이다. 다만 지원 방식을 묻는 질문에는 보다 적극적인 액션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특히 현지 금융당국과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시급하다고 봤다. 10명 중 6명( 62.5%)이 중요한 지원이라고 꼽았다. 최근 국내 금융사들이 현지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면서 현지 금융당국의 견제가 심해진 탓이다.
실제 우리 금융사들이 가장 많이 진출해 있는 베트남의 경우 현지 금융사 구조조정을 핑계로 국내 금융사에 대한 신규 법인 허가 등을 내주지 않는 사례가 다수 발생했다. 베트남 뿐 아니라 국내 금융사들이 다수 진출한 인도네시아와 중국 등에서는 현지 당국으로부터 제재를 받는 사례도 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 금융당국과 현지 금융당국 간의 소통을 통한 지원이 필수적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반면 그간 금융당국의 해외진출 지원 방안을 묻는 질문에 매번 상위에 랭크됐던 ‘규제완화’를 꼽는 CEO들은 31.3%에 그쳤다. 금융당국이 지난해 해외 자회사 인수·설립 관련 규제를 폭넓게 완화하고 해외 자회사에 대한 자금지원 제한 완화방안을 내놓는 등 규제 완화에 나섰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금융사 CEO들은 여전히 규제 완화를 호소했다. 이들은 △현지 진출 이후 과도한 보고서 작성 요구 △자금조달에 대한 제약 완화 △비금융회사에 대한 투자 제한 완화 △금산분리 완화 등을 요구했다.
설문에 응한 한 CEO는 “해외 지출 시 현지와 한국의 회계 방식 및 규모의 차이에도 한국 기준으로 상세하게 제출해 보고해야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면서 “해외 진출 과정에서의 사전 신고 및 사후 보고 절차를 간소화해 금융사들이 해외 시장에 더 신속하게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