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분업 후 12년 만의 피임약 재분류를 놓고 의·약계가 거센 반발에 나섰다. 의사들은 둘다 전처방전이 필요하고, 약사들은 둘다 약국에서 살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양측 모두 각자에게 유리한 입장을 내놔 결국은‘밥그릇 싸움’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갑자기 약국에서 사전피임약을 살 수 없게 된 소비자는 혼란에 빠졌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7일 사전피임제는 전문약, 사후긴급피임제는 일반약 전환을 추진하는 것을 골자로 한 ‘의약품 재분류안 및 향후계획’을 발표했다.
대한산부인과학회와 산부인과의사회는 이날 공동성명을 내고 "접근성 향상보다 올바른 성의식과 효과적인 피임교육이 선행돼야 원치 않는 임신과 낙태를 줄일 수 있다"며 사후긴급피임제의 일반약 전환을 강하게 반대했다. 사후 긴급피임약 구매가 쉬워지면 오·남용에 따른 부작용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는게 이유다.
신정호 대한산부인과학회 사무총장은 "미국이나 영국 등과 달리 우리나라는 의사에게 쉽게 진료받을 수 있고 피임약에 의한 피임율이 2.5%에 불과해 접근성을 이유로 부작용 위험이 높은 사후피임약을 일반약으로 전환할 필요는 없다”며 “사후 피임약을 약국에서 살 수 있게 되면 정상적인 피임을 소홀히 하고 사후 피임약에 의지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반면 대한약사회는 사전피임제는 일반약으로 유지돼야 한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약사회는 "사전피임제의 경우 지난 50여년간 전세계에서 사용돼 안전성과 유효성이 입증됐으며, 현재 시판 중인 에티닐에스트라디올제제는 최근 용량을 크게 줄여 안전성이 더욱 높아졌다"고 밝혔다.
약사회는 또 "사전피임제 복용은 여성의 성적 자주권과 자기 결정권에 관한 영역"이라며 "지역약국 약사와의 상담을 통해 결정하는 것이 최소한의 국민 편의성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사전피임제를 전문약으로 전환하면 국민 의료비 부담이 지금보다 4.5배~5.3배 증가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런 가운데 국내 도입 44년만에 사전피임제가 전문약으로 된다는 소식에 소비자들은 혼란에 빠졌다. 이번 지금까지 큰 부작용 없이 약국에서 피임약을 구매해 피임을 해 오던 여성들은 당장 의사의 처방을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하게 될 처지에 놓였다. 특히 사전피임제는 피임 목적 이외에도 생리주기 조절 등을 이유로 이용해 온 일반 여성들의 불편도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이제와 사전 피임약의 부작용을 뒤늦게 거론한 보건당국의 행보에 대해서도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