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전면전 확대시 고객정보·자산 안전 장담 못해
전쟁 나면 은행에 맡긴 돈 안전할까(?)
한반도 군사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금융자산 안전성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북한이 10일 미사일을 발사키로 하는 등 한반도에서 국지전 발발 가능성이 증폭되면서 시중은행에 예치한 금융자산의 안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다.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 우리, 신한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들은 전쟁 발발시 기존 본부조직이 전시조직으로 재편되고, 부서별 전시임무를 적시한 책자에 따라 임무를 수행하는 등 전시체제로 전환된다. 상급기관인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전시금융계획에 따른 상황지침을 하달받게 되며 각 은행별 지침에 따라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비밀로 공개되지 않는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전시 안전지침에 따라 파기할 건 파기하고, 본점 및 영업점의 이동이 필요한 부분(고객예금, 대출자료, 전산상 고객금융 정보 등)은 안전한 장소로 이동조치 한다”고 말했다.
시중은행들은 고객 예치금을 전산으로 관리하고 전시 등 업무중단 사태 발생에 대비해 ‘재해복구센터’를 별도로 마련해 놓고 있다. 전산망 파괴 등 위기상황으로 금융거래가 일시 중단될 경우 수기로 금융거래를 진행하며, 이후 정상화과정에서도 기존 전산 데이터와 대조조사를 벌이는 매뉴얼이 구축돼 있어 고객의 금융자산은 피해가 없도록 했다.
은행권에 따르면 고객정보 및 예금정보 등은 서울과 수도권 그리고 제3의 지역 등 최소 3곳에 백업센터를 갖춰 관리하게 된다. 아울러 은행들은 대체사업장을 수도권 인근지역에 마련해 전시 비상상태에서도 본점업무를 대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놓고 있어 금융대란이 발생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 전국단위 전면전 상황이 아닐 경우 고객 투자정보가 완전 소실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설명이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재해, 재난 등으로 인한 업무중단에 대응해 주요 업무를 복구·재개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한 정책, 기준, 절차 등을 포함하는 총체적인 관리 프로세스인 '업무연속성계획'을 갖추고 있다”며 “업무연속성계획에는 비상시 대응할 수 있는 대체사업장 운영, 인력 관리, 커뮤니케이션 등의 내용이 포함돼 있으며 모의훈련을 통해 준비상황을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