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경찰청 해체 소식에 인천 송도국제도시 해경청 본청은 ‘멘붕’ 상태에 빠졌다.
앞서 박근혜 대통령은 19일 세월호 참사와 관련한 대국민 담화에서 "고심 끝에 해경을 해체하기로 결론을 내렸다"며 "수사·정보 기능을 경찰청으로 넘기고 해양 구조·구난과 해양경비 분야를 신설하는 국가안전처로 넘길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소식을 접한 해양경찰관들은 말 그대로 망연자실한 모습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간부는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큰 폭의 조직 개편을 예상하고는 있었지만 해체까지 될 줄은 전혀 상상하지 못했다"며 "안타까울 뿐“이라고 전했다.
네티즌의 반응도 다양하다. 일각에서는 세월호 참사에 대해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한 것은 큰 문제이라면서 해경 조직을 해체하는 것은 너무 지나치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 다른 이들은 해경 본연의 업무가 있는데 이를 해체하는 것은 쉽게 납득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반면 해경 해체를 반기는 일부 네티즌은 “뿌리만큼 거둔다”며 “사안이 사안인 만큼 해경 해체는 바람직한 수순”이라고 강조했다.
해경은 지난 1953년 12월 내무부 치안국 소속 해양경찰대로 출범했다.
창설 초기에는 해양경비, 어로 보호 기능을 주로 담당했지만 지금은 해상범죄 수사, 해상교통 안전, 수상레저, 해양오염 방지 등 업무 영역이 크게 확대됐다.
해경청 본청을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두고 산하에 동해·서해·남해·제주 등 4개 지방해양경찰청, 17개 해양경찰서, 여수 해양경찰교육원, 부산 정비창이 설치돼 있다.
해양경찰관은 해경공무원 채용 계획에 따라 일반 경찰과는 별도로 선발된다.
해기사 면허를 보유한 해양대 출신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지만 일반 대학 졸업자도 다양한 분야에 포진해 있다.
해경은 독도 해역 경비함 삼봉호(5천t급)를 비롯, 전국적으로 경비함정 303척을 운용하고 있다. 항공기는 광역초계기 챌린저호 등 24대를 보유하고 있다.
이후 해경 인력은 전국에 1만1600명, 연간 예산 규모는 1조1천억원으로 10년 전보다 각각 배에 가까운 규모로 성장했다.
하지만 세월호 침몰 초기 부실한 초동 대응과 수색 작업 등으로 거센 비난 여론에 휩싸였다가 결국 해체 수순을 밟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