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다도의 JDC , 부패·부채·분규 없는 ‘3無’ 목표

입력 2014-05-22 10:28수정 2014-05-22 10:5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부실경영’ 털고 재무상황 급호전

▲제주첨단과학도시에 위치한 JDC 전경.

“다른 지역과 달리 돈이 돌아다니는 소리가 들리더라.” 제주도를 방문했던 한 투자자의 감탄사다. 실제로 제주도는 국내에서 가장 빠르게 부(富)가 증가하는 지역 중 하나다. 통계청 집계를 보면 제주도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전년 대비 6.4% 증가했고 경제성장률은 5.3%를 기록했다. 두 수치 모두 전국 1위다. 1인당 소득은 전국 5위다. 돈이 도는 곳에는 사람이 몰린다. 제주의 인구 유입률은 매년 전국 3위권에 든다.

이 같은 제주도의 경제성장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의 지난 성과와 연관이 깊다. JDC는 제주의 무분별한 개발을 막고 체계적 관광지 개발을 선도하는 동시에 외국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설립된 중앙정부 차원의 공공기관이다. 설립 이후 지난해 말까지 3조원이 넘는 투자를 유치했으며 1654개 업체에 7095억원어치의 공사를 수주했다. 제주지역이 국제적 관광도시로 자리매김한 지난 10여년은 JDC의 활동시기와 겹친다.

▲김한욱 이사장.
◇이사장 취임후 재무상황 급호전 = JDC는 제주에 설립된 중앙정부 산하 공기업이다. 따라서 지역주민으로부터 신뢰를 얻어야 하는 동시에 국민의 신뢰도 받아야 하는 두 가지 과제가 있다. 하지만 불과 1년 전까지 JDC를 바라보는 외부의 시선은 우호적이지 않았다. 정부로부터도 혹독한 평가도 받았다. 급기야 지난해 발표된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는 최하위 등급을 받아 부서장 이상 간부 30명이 일괄사표를 냈고 지역단체들이 기관의 부실경영을 검찰에 고발하는 일도 발생했다.

변화가 나타난 것은 지난해 김한욱 이사장 취임 후 비상경영이 강도 높게 추진되면서다. 특히 김 이사장은 정부 지원에 의존하던 경영구조를 깨기 위해 무차입 경영 원년을 선포하고 외부에서의 자금조달을 중단했다. 그 결과 2011년 138억4000만원, 2012년 201억6000만원에 달했던 정부출연금은 2013년 18억원, 2014년 16억원 등으로 크게 감소했다.

JDC의 재무상황은 건전해지고 있다. 공공기관경영정보공개시스템(알리오)을 보면 JDC의 작년 매출액은 4708억6400만원으로 전년도(3833억7000만원)에 비해 약 23% 증가했다. 이에 따른 2013년 영업이익은 948억5400만원으로 전년도(635억500만원)보다 50% 가까이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408억1800만원으로 같은 기간 44%% 늘었다.

◇ 부패·분규·부채 ‘3無’…지역주민과 ‘밀착’ = JDC가 지향하는 향후 방향은 부채, 부패, 분규가 없는 ‘3무(無) 공기업’으로 요약할 수 있다. 지난해 국민권익위원회의 청렴도 평가에서 JDC는 우수 등급을 받았다. 국가 공기업 30개 기관 중에 4위, 국토부 산하 공기업 중 1위다. 징계 기준을 강화하고 청렴 인센티브를 늘리는 등의 노력을 기울인 결과라고 JDC는 설명했다.

부채 측면에서는 오는 2017년까지 금융부채를 아예 없앤다는 목표다. 당장 지난해의 경우 2012년 2860억원이던 금융부채가 2360억원으로 17.5% 줄었고 이에 따른 부채비율은 같은 기간 87.7%에서 70.4%로 17.3%포인트 줄었다. JDC는 현재의 추세가 이어질 경우 2014년·2015년 960억원, 2016년 260억원, 2017년 0원에 이르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건강한 노사관계는 JDC의 강점 가운데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어느 기관이나 임금을 동결하고 복리후생비를 감축하려면 진통을 겪기 마련이다. 하지만 JDC는 최근 이뤄진 노사 완전합의를 통해 1급 직원의 임금을 동결하고 경조비·의료보조금·생일축하금을 없앴으며 각종 복리후생비 8개 항목을 축소했다. 다른 기관에서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사례다.

한편 JDC의 향후 사업계획의 중요한 방향은 지역주민에게 제주 발전의 과실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김 이사장은 향후 사업추진 계획에 대해 “도든 JDC든 제주도의 발전을 위해 존재하는 기관”이라며 “대규모 프로젝트에 의해 사업을 추진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만 일정 부분 도내 지역자본이 참여하도록 하고 지역주민들의 고용기회를 확대하면서 지역과 기업이 공동 발전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