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전문가들은 17일 국내 증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공포 완화로 상승 출발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바이오기업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에볼라 치료제 '렘데시비르'가 코로나19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보도에 따른 영향이다.
또한 기업 실적 발표 시즌에 돌입하면서 감염병 영향을 덜 받는 바이오ㆍ헬스케어ㆍ온라인 기반 기업들은 선전하는 반면 신용 리스크 우려가 커진 에너지ㆍ항공ㆍ호텔 등 기업은 부진하는 종목 장세가 연출될 것으로 점쳐진다.
◇서상영 키움증권 연구원 = MSCI 한국지수 ETF는 1.10%, MSCI 신흥지수 ETF는 0.54% 상승했다. 최근 미 증시는 양호한 실적을 발표하거나 기대되는 일부 바이오, 헬스케어 업종과 온라인 기반 기업들이 상승하고 있으나, 실적이 급격하게 위축되거나 신용 리스크 우려가 큰 에너지, 금융, 항공, 호텔 업종이 부진한 모습을 보인다. 이는 시장 참여자들이 경제 재개 등을 이유로 저점 대비 30~40% 반등을 해왔기 때문에 상승을 지속하기보다는 종목 위주로 초점을 바꾼 데 따른 것으로 추정한다. 이런 변화는 한국 증시에도 영향을 줘 업종별, 종목별 차별화 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
한편, 오늘 주목할 부분은 미 증시 마감 후 트럼프가 경제 재개와 관련 가이드라인을 발표할 것이라는 점이다. 길리어드 사이언스 치료제 효과가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어 경제 재개와 관련 일정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미 증시 마감 후 길리어드 사이언스가 코로나 치료에 효과를 보인다는 소식이 제기된 이후 관련 종목이 10% 넘게 급등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시카고 의과 대학에서 렘데스비르 이용한 거의 모든 환자가 일주일 이내 회복이 되었다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이는 코로나로 인한 공포 심리를 완화할 수 있어 지속적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를 감안 국내 증시는 상승 출발 후 관련 소식에 힘입어 반등이 예상되며, 특히 코로나 이후 종목군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김용구 하나금융투자 연구원 = 다음 주 국내증시는 2011년 이래로의 장기 박스피(Boxpi) 장세 당시 시장의 추세 하단으로 기능했던 코스피 1850선 안착을 모색하는 중립수준의 주가 흐름 전개를 예상한다. 30거래일 연속 외국인 순매도에도 불구 장기 박스권 내 횡보 등락 행보가 지속될 것이다.
이는 한국 코로나19 파장의 선입선출 전환, ‘동학개미운동’으로 표방되는 개인 투자가 매수 열풍, 5월 초 양회를 전후한 중국 총력 부양 기대가 국내외 실물경기 및 실적 펀더멘탈 측면 후폭풍에 맞서는 완충기제로 기능했던 결과다.
다음 주 시장 초점은 본격화되는 국내기업 1분기 실적 발표에 집중될 전망이다. 코로나19 전 세계 창궐과 관련한 증시 펀더멘탈 타격 정도를 가늠하는 첫번째 이벤트라는 점에서 이번 1분기 실적시즌이 갖는 시장 함의는 각별하다. 현재 코스피 2020년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144.3조 원(1Q 25.9조 원)으로 코로나 쇼크 발발 이후 가파른 실적 눈높이 하향조정 시도가 하염없이 반복됐다. 다분히 지뢰밭 통과와 다름 없는 1분기 실적시즌을 암시하는 대목인 셈이다. 단, 기업의 존립을 위협하는 수준의 실적쇼크가 아닌 이상 1분기 실적변수의 시장 영향은 대체로 중립 수준으로 제한될 것이다. 이미 현 코스피 지수 및 밸류 레벨이 2020년 영업이익 100조 원 턱걸이 가능성을 상당 수준 선반영하고 있다. 대응전략 초점을 반도체ㆍ유틸리티ㆍ통신ㆍ바이오ㆍ음식료 등 실적 안전지대 업종대안 중심 박스권 순환매 트레이딩 지속 가능성에 맞춰야 하는 이유다.
궁금한 점은 21대 총선의 국내증시 함의 판단. 지난 15일 실시됐던 제 21대 국회의원 선거는 집권여당의 압승으로 일단락됐다. 민주당계(더불어민주당ㆍ더불어시민당ㆍ열린민주당ㆍ민주계 무소속 1석 포함 총 184석)와 정의당(6석)을 포괄한 범진보진영은 국회선진화법 제약 우회 가능선인 180석을 넘어 단독 개헌 가능선(200석)에 근접한 190석을 확보했다. 개헌만 빼고 입법ㆍ예산심의ㆍ인사인준 등 그 어떤 사안도 단독 처리가 가능한 슈퍼여당의 출현인 셈이다.
시장 함의는 크게 세 가지다.
첫째, 절대적 의회 리더쉽에 기초한 후기 문재인 정부 측 국정운영 광폭 행보 여지에도 중장기 증시 영향은 대체로 중립 수준으로 제한될 것이다. 이는 내부 국정 주도권보단 대외 경기환경 변화에 전적으로 의탁하는 한국 경제ㆍ증시의 특수성, 현 정부측 기존 경제정책 방향과 별반 다르지 않는 민주당측 21대 총선 공약사항, 총선 및 집권여당 승리와 통상 무관한 흐름을 보였던 과거 증시 경험칙에 근거한 판단이다. 경제민주화와 소득주도 성장론 제기를 통해, 문재인 정권 출범 이후 경제정책 지형도 변화를 예고했던 20대 총선 당시와 일면 대비되는 대목이다.
둘째, 단기적으론 중립 이상의 증시 영향이 기대된다. 정부와 국회를 잇는 강력한 국정운영 컨트롤타워의 확립은 총력전격 재정부양을 통한 코로나19 후폭풍 차단 및 실물경기 진작에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실제 과거 실물경기 긴급대응을 위한 추경 효과는 여야간 정쟁 심화에 기인한 정책시차 확대로 그 영향력이 상당 수준 반감됐다.
셋째, 21대 총선과 관련한 정책 수혜주 찾기 논의는 단순 테마ㆍ이슈 짝짓기가 아닌 중장기 관점에서 기업 실적 등 펀더멘탈 측면을 고려한 옥석 가리기에 기초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