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일자리 사업 덕에 임시임용직 23만6000명 늘어
“지속 가능한 일자리 확보 위해 경제 활성화 힘써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지속 여파로 정규직원을 의미하는 상용직 근로자 수가 최근 1년 새 23만 명 가까이 줄었다. 그만큼 고용이 안정된 일자리가 큰 폭으로 사라진 것이다.
여전히 가파른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조치로 직격탄을 맞고 있는 숙박·음식업 등 대면 서비스 업종과 우리 산업의 근간인 제조업의 고용사정이 악화된 것이 상용직 급감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한다.
7일 고용노동부 '10월 사업체노동력 조사'에서 올해 10월 말 기준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1870만4000명) 중 상용직 근로자(임금근로자) 수는 1552만 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2만8000명(-1.4%) 줄었다. 작년 10월부터 올해 10월까지 1년 사이에 22만8000개의 상용직 일자리가 사라진 것이다.
이 기간에 코로나19 확산세가 본격화한 올해 3월부터 10월까지 상용직 근로자가 8개월 연속 감소세(전년 대비)를 이어갔다.
이러한 상용직 근로자 급감은 코로나19발(發) 고용 충격이 집중되고 있는 숙박·음식업 등 대면 서비스 업종과 제조업 고용 악화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고용부는 보고 있다.
작년 10월 128만7000명이던 숙박·음식업 종사자는 올해 10월엔 112만5000명으로 1년 새 16만2000명 줄었고, 도매 및 소매업도 같은 기간 232만 명에서 226만4000명으로 5만6000명 감소했다.
상용직이 많은 제조업은 374만1000명에서 366만2000명으로 7만9000명 줄었다. 7만9000명 감소폭은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대 감소폭이다.
눈에 띄는 점은 작년 182만9000명이던 임시임용직 근로자(임금근로자) 수가 올해 10월 206만5000명으로 1년 새 23만6000명 늘었다는 점이다. 이 같은 증가는 올해 7월부터 코로나19 사태로 일터를 잃은 실직자와 미취업 청년 등에게 단기 일자리를 제공하는 정부 일자리 사업 덕분이다. 생계유지를 위해 일자리 사업에 뛰어든 실직 상용직 근로자가 적지 않음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문제는 해당 사업에 참여한 임시임용직 근로자들이 계약기간이 끝나면 다시 실직자로 전락한다는 점이다. 여전히 고용 불안에 놓여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여파로 실직한 근로자들이 생계 어려움에 시달리지 않도록 정부가 단기적으로는 일자리 제공을 확충하되, 이들이 추후 안정된 일자리를 가질 수 있도록 경제 활성화에 힘써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경제와 노동시장이 얼어붙은 현 상황에서는 우선적으로 정부가 돈을 풀어 실직한 취약계층의 생계 지원 및 일자리 제공에 나서는 것이 급선무”라며 “이와 함께 유망 4차 산업과 전통 주력사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해 경제 체질을 제고해야 한다. 그래야 취약계층이 편입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가 만들어 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