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행정부 부양책
자료=키움증권
이어 “더불어 반도체/통신, 데이터센터(리츠), 보안 등의 첨단 인프라도 국가 경쟁력 발전을 위해 투자가 추진돼야 할 핵심 영역이다”면서 “국가 경제의 ‘회복’관점에서 빠른 경기부양 효과를 견인하는 전통 인프라가 단기적으로 중요한 동시(OLD), 경제 ‘발전’의 차원에서 반도체, 초고속 통신망(5G), 친환경 인프라, 여기에 파생될 다양한 산업에도(NEW)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욨다.
실제 인프라 정책이 공개된 31일(현지시간) 미국 증시에서는 2월 이후 하락세를 보여오던 친환경 섹터뿐 아니라 반도체 및 기술주의 반등이 시현 됐다. 교통 부문에 있어서도 전기차 산업 부문에 1740억 달러의 높은 금액이 배정되면서, 테슬라 및 전기차 충전소, 배터리 업체들의 주가도 모처럼 상승세를 확대했다.
김 연구원은 “인프라 정책 수혜주를 찾는 데 있어 OLD, NEW를 나누기보다, 바이든의 대규모 인프라 정책 시행의 목적, 즉 1) 미국경제의 건전한 회복과 2) 중국과의 기술 격차 확대 등 자국 미래 경쟁력 확보라는 큰 줄기에서 포괄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