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중동 수출 가능성 커져 …중·러시아 견제 포석 해석도
한미가 해외 원자력발전 시장에 공동 진출하기로 합의했다. 전통 원전 강국인 미국과 원전 진출의 손을 잡으면서 체코, 사우디아라비아 등의 원전 수주 가능성도 한층 커질 것이란 전망이다.
한미 정장은 21일(현지시간) 공동성명을 통해 “원전사업 공동참여를 포함해 해외원전시장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최고 수준의 원자력 안전·안보·비확산 기준을 유지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공동성명과 함께 공개된 팩트시트(Factsheet)를 통해 한미 양국이 함께 원전 공급망을 구성함으로써 해외원전시장에 공동참여하기로 약속했다.
이러한 협력의 일환으로 원전공급 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추가의정서 가입 조건화를 양국 비확산 공동정책으로 채택하기로 하는 등 원자력분야 협력 강화방안을 구체화했다.
현재 해외 신규원전사업에 양국 주요 원전기업들이 큰 관심이 있으며, 이번 양국 정상 간 합의를 계기로 기업 간에도 구체적인 협력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전통적인 원전 강국인 미국의 기업들과 우수한 기자재 공급망,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1호기 상업운전을 성공시킨 우리기업들이 협력하면 수주경쟁력 높아지고 양국 원전 생태계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합의로 체코, 폴란드, 영국, 사우디아라비아 등 신규 원전 도입을 추진 나라의 수주 가능성도 커질 것으로 관측된다.
체코는 두코바니 지역에 사업비 8조 원 규모로 1000∼1200㎿급 원전 1기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폴란드는 총 6000∼9000㎿ 규모의 신규 원전 6기 건설할 계획이고 사우디아라비아도 차세대 원전 2기 건설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체코와 폴란드 등은 한국과 미국 등이 수주 경쟁을 벌이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양국이 컨소시엄을 만들어 신규 원전 수주에 나서기보단 두 나라 중 어느 나라가 수주하면 다른 나라가 사업에 참여하는 방식 등을 고려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번 한미 원전시장 공동진출 협력 합의는 세계 원전 시장에서 커지고 있는 러시아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서란 해석도 있다.
현재 세계 원전 시장에서 신규 수주는 대부분 러시아와 중국에 돌아가고 있으며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19일 양국 원자력 협력 프로젝트인 중국 장쑤성 톈완 원전 및 랴오닝성 쉬다바오 원전의 착공식을 화상으로 참관하기도 했다.
이에 미국이 한국, 일본 등과 국제 공조를 강화해 원전 리더십을 되찾기 위한 포석도 깔렸단 평가다.
국내에서 감 원전을 하면서 해외 원전 시장엔 진출하려는 정책이 상충한단 지적도 있다. 국내에선 사용후핵연료 처리 문제, 사회적 비용, 안전 등을 이유로 원전을 점차 줄이겠단 것인데, 해외 수주전에서 이 같은 논리가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