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릭스 20주년] 브릭스, 중국 독주에 퇴색하는 신흥시장 기대

입력 2021-10-25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브릭스 4개국, 현재 전 세계 GDP 24% 차지
글로벌 거버넌스에서도 영향력 커져
중국 경제, 브릭스 비중 72% 달해…브라질·러시아는 10% 미만

▲9월 9일 중국 베이징에서 화상으로 열린 제13차 브릭스(BRICS) 정상회의에 각국 정상들이 참석하고 있다. 베이징/신화뉴시스

골드만삭스자산운용 회장이었던 짐 오닐이 브릭스(BRICs)라는 용어를 창안한 지 11월로 20주년을 맞는다. 그의 예견대로 브릭스 4개국은 2000년대 신흥시장 붐의 중심을 이뤘다. 그러나 오닐 회장의 예견은 절반만 맞았다. 신흥시장의 전반적인 발전은 기대에 미치지 못한 반면 중국의 독주가 두드러졌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최근 분석했다.

짐 오닐 전 회장은 지난 2001년 11월 30일 ‘더 나은 글로벌 경제 브릭스의 구축(Building Better Global Economic BRICs)’이라는 보고서에서 ‘브릭스’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당시 오닐 회장은 브라질과 러시아, 인도, 중국 등 4개국의 머리글자를 조합한 브릭스라는 신조어를 통해 신흥국 경제가 부상할 것을 점쳤다. 오닐은 브릭스가 세계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00년 8%에서 2011년 14.2%, 구매력평가지수(PPP) 기준 23.3%에서 27%로 높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자료에 따르면 브릭스는 현재 달러 기준 세계 GDP의 24.3%, PPP 기준 31.4%를 차지하고 있다. 오닐의 예측이 상당 부분 적중한 셈이다.

이후 브릭스 4개국은 2009년 러시아에서 첫 정상회의를 개최하고 2011년에는 아프리카를 대표하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을 포함해 ‘BRICS’ 5개국으로 발전했다.

실제 브릭스는 2000년대 신흥시장 성장 붐의 중심이 됐다. 남아공을 제외한 브릭스 4개국의 총 GDP는 2000년 2조7000억 달러에서 2020년 12조2480억 달러로 4.5배 증가했다. 새로운 수익 기회를 찾고 있던 세계 투자자들도 일제히 브릭스를 주목, 적극적으로 뛰어들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주요 7개국(G7)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평가에 무게가 실렸고 브릭스가 참가한 G20의 역할과 기능이 강조되면서 존재감을 더했다. 브릭스 각국의 영향력도 더욱 커졌다. 미국이 주도했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서 2017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정부가 탈퇴하면서 탄생한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에 중국이 가입을 신청하고, 중국 영향력을 견제하기 위한 미국·일본·호주·인도 4개국 안보협의체인 ‘쿼드(Quad)’에 인도가 참가했다. 글로벌 거버넌스에서 차지하는 브릭스 각국의 영향력이 커진 것이다.

그러나 오닐 회장의 예측은 절반만 성공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브릭스가 고른 성장을 보인 게 아니라 중국의 독주 체제가 공고해졌다는 이유에서다.

오닐은 2020년 브릭스 4개국의 경제 규모가 미국의 약 75 % 수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IMF 분석 결과 지난해 4개국의 경제 규모는 2000년 대비 7.7배로 확대되면서 실제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그러나 내용을 들여다보면 전체 성장을 중국이 떠받쳤다. 오닐은 브릭스 가운데 중국 경제 비중이 2000년 39%에서 2020년 57%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지만 실제 중국 경제는 72%까지 급증했다. 반면 브라질과 러시아는 모두 10% 미만으로 부진했다.

결국 중국의 나 홀로 성장이 두드러졌던 것으로 브릭스를 중심으로 한 신흥시장의 발전이 오닐의 기대에 크게 못 미친 셈이 됐다.

오닐은 지난달 ‘프로젝트 신디케이트’에 낸 기고문에서 브릭스가 향후 경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해야 할 일들을 제안했다. 우선 브릭스 내 국가 간 무역을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중국과 인도 사이에서 개방적이고 활발한 교역은 브릭스는 물론 세계 경제 성장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오닐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서 나타난 것처럼 브릭스 국가들이 감염병에 취약하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면서 “감염병 문제를 심각하게 다루지 않으면 경제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