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은 2일 사모펀드 전수조사 계획과 관련해 “사실은 우리 인력 대비 많은 부담”이라며 “필요에 따라 조사 인력들에 대한 탄력적 운영을 고민해보겠다”라고 말했다.
정 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자산운용사 최고경영진(CEO) 간담회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사모펀드 회사가 약 340여 개가 되는데 그 부분을 전수조사하는 것과 관련해서 사실은 우리 인력 대비 많은 부담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그 인력을 추가로 확충하는 문제는 현재 금융위와 이런저런 얘기를 하고 있다”라며 “필요에 따라서는 증권 쪽에 조사 인력들에 대한 탄력적인 운영을 고민해 보겠다”라고 답했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사모펀드 전수 조사가 부실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당시 정 원장은 “금융회사 364곳을 활용해 일차적으로 위급한 펀드에 대해 파일럿 조사를 한 것”이라며 “이후 이차적으로 조사를 할 예정”이라고 말한 바 있다.
지난해 8월 출범한 금감원 전문 사모 운용사 전담검사단은 2023년까지 233개 운용사에 대한 현장 검사를 마친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난 9월 사모펀드 점검 등 중간 진행 상황 발표에서 검사단이 검사를 마친 운용사는 37곳으로 집계됐다. 이에 사모펀드 조사가 용두사미에 그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다.
또, 정 원장은 이날 디폴트 옵션(사전지정운용제도)에 관한 이야기도 나눴다고 전했다.
그는 “현재 입법과 관련해서 자산운용사 입장에서는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제도의 도입이니까 그런 환영하는 분위기였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퇴직연금 운영 규제 완화에 대한 기자의 질문에 그는 “기본적으로 저희는 근퇴법에 따른 퇴직연금 운용의 어떤 테두리 내에서 자산운용을 해야 하는 것”이라면서 “제도적 틀을 벗어나서 탄력성을 발휘하기에는 좀 어렵다는 점을 말씀드린다”라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전했다.
지난 1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여야는 퇴직연금에 디폴트 옵션을 도입하는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개정안’ 처리에 합의했다. 국민 노후 자금인 퇴직연금 대부분이 원리금 보장상품으로 운용되다 보니 수익률이 저조하다는 비판에 따른 것이다.
이달 중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근로자는 확정기여(DC)형 퇴직연금을 직접 펀드나 상장지수펀드(ETF) 등에 운용할 수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 정 원장을 비롯한 자산운용사 CEO들은 자산운용업계에 대한 ‘투자자의 신뢰회복’이 최우선 과제라는 점에 공감했다고 알려졌다.
정 원장은 “사전예방적 감독과 사후적 감독 간 조화와 균형을 도모하면서도 금융소비자 보호에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나재철 금융투자협회장을 비롯한 미래에셋ㆍ삼성ㆍKBㆍ키움투자ㆍ이지스ㆍ타임폴리오 송성엽ㆍ수성ㆍ한국자산신탁 대표이사가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