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성 대사 운용사 사무실 자주 왕래…정관계 연루 책임자 철저하게 엄벌해야”
장하성 주중 대사 등이 투자해 논란이 되고 있는 ‘디스커버리펀드’ 피해자들이 당국에 100% 보상과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 피해자가 환매 중단으로 입은 피해 규모만 256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 대책위원회(대책위)와 전국 사모펀드 사기피해 공동대책위원회 회원들은 16일 오전 서울 중구 기업은행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디스커버리 사모펀드의 설정, 판매, 운용, 사후관리 등 전 과정에 거친 의혹들을 밝히라”라며 “디스커버리 사모펀드 피해를 한국투자증권 방식으로 100% 보상하라”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책위는 “2020년부터 지금까지 178번째 시위를 하면서 기업은행으로부터 단 한 차례 성의 있는 답변을 받을 수 없었다”라면서 “사모펀드 사태 중 가장 먼저 환매가 중단되었으나 근본적인 해결도 없이 4년째 표류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디스커버리는 등록한 지 6개월도 안 됐으며 판매 실적이나 없었다”라면서 “전문사모집합투자업으로 등록한 지 불과 11일 후 기업은행은 졸속으로 위탁 판매를 개시했다”라고 비판했다.
피해자들은 국책은행인 기업은행이 리스크(위험) 검토를 제대로 하지 않은 채 펀드를 팔았는지 조사해달라고 요구했다.
대책위는 “지난해 8월 4일 강민국 의원실에 따르면, 기업은행과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은 펀드의 기초자산 부실을 이미 인지할 수 있었다”라면서 “상품의 위험성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신중한 판매가 필요하다는 내부 의견이 제기됐는데, 이를 무시하고 무리하게 판매를 강행했다”라고 주장했다.
그 과정에서 정치권 유력 인사와 관련된 특혜 의혹이 있었는지도 파악해 달라고 말했다.
대책위는 “장하성 주중대사는 대사로 임명되기 전 디스커버리자산운용사 사무실에 자주 왕래한 것으로 알고 있다”라며 “장 대사의 동생 장하원의 펀드 돌려막기, 사모펀드 쪼개기 및 각종 사기 수법의 진실을 규명하고, 정관계 인사 등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사기 혐의에 연루된 모든 책임자를 철저하게 엄벌해야 마땅하다”라고 날을 세웠다.
디스커버리펀드는 2019년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의 2562억 원 규모 펀드가 미국 현지 자산운용사의 법정관리로 환매가 연기돼 발생한 대규모 투자자 피해 사건이다. 해당 펀드는 2017년 4월부터 기업은행, 하나은행, 한국투자증권 등 시중은행과 증권사 12곳에서 팔렸다. 미국 현지 운용사인 DLI가 실제 수익률과 투자자산의 실제 가치 등을 허위 보고한 것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서 적발되면서 결국 환매가 중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