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사진> 제20대 대통령 당선인이 공약으로 내건 IEO(Initial Exchange Offeringㆍ거래소발행)를 둘러싼 코인 프로젝트와 거래소의 우려가 짙어지고 있다.
윤 당선인은 ICO(Initial Coin Offeringㆍ초기 코인 공개)를 촉진하기 위해 안전장치가 마련된 IEO부터 시작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IEO는 코인 프로젝트가 직접 투자금을 모금하는 방식과 달리 거래소가 중개인이 돼 투자자와 코인 프로젝트 검증자 역할을 담당한다.
14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IEO 추진시 상장피(상장 대가로 재단이 거래소에 내는 비용) 등 가상자산 거래소와 코인 프로젝트의 갑을 관계가 굳어질 것이란 우려가 있었다.
업계 전문가는 "그간 거래소에서 상장을 대가로 코인 프로젝트로부터 상장피나 비트코인을 받는 경우가 많았다"라며 "IEO가 활성화되면 ICO에서 보장되던 코인 프로젝트의 자율성이 떨어지고, 거래소의 시장 지배력이 지나치게 커질 수 있다"라고 경고했다.
거래소와 코인 프로젝트에서도 유사한 지적들이 이어졌다. IEO가 바이낸스의 런치패드를 차용해 만들어진 모델인 만큼, 정책 추진 이전에 관련 내용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바이낸스는 2017년 8월 IEO 플랫폼 바이낸스 런치패드를 출시, 프로젝트를 발굴해 코인 판매를 중개하고 이후 독점 상장하는 서비스를 제공했다.
가상자산 거래소 관계자는 "런치패드는 해당 서비스에 참여하기 위해 자체 토큰인 바이낸스코인(BNB)을 쓰도록 하고 있다"라며 "IEO라는 모델 자체가 자체 토큰의 소각처를 만들기 위해 나온 것이라 국내 거래소에 적용하면 실질적인 이득이 없고 부담만 지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인 프로젝트를 국내로 돌리려는 조치지만, 근본적인 문제 해결 없이 상황이 개선되지 않으리라는 의식도 공유하고 있었다.
코인 프로젝트 관계자 A씨는 "국내 금융당국이 ICO를 금지해 코인 프로젝트들이 해외로 나간 만큼 이를 되돌리려면 당국의 입장 변화가 필요하다"라며 "리스크가 해소되지 않았는데 거래소에 다시 기대야 한다면 또 다른 부담을 지고 국내로 돌아오라는 격"이라고 비판했다.
거래소의 상장심사 업무 역량에 대한 의문 또한 제기됐다. ICO 과정에서 공개하는 코인 백서의 경우 대개 미래의 계획에 의존하는데, 현재 거래소 내 상장지원팀이 이를 판단하고 책임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코인 프로젝트 관계자 B씨는 "금융 당국이나 거래소 내부적으로 관련 업무에 대해 가이드라인이나 기준이 없는 상황"이라며 "투자자 보호 효과는 있겠지만 이런 상황에서 IEO를 맡겨도 거래소, 코인 프로젝트 양쪽에 부담만 가중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윤 당선인에게 가상자산에 대한 글로벌 기준을 가져달라 주문하는 프로젝트도 있었다. 국내 투자자에만 한정된 시장이 아니고, 국내 투자자 또한 글로벌 시장을 바라보는 만큼 관련 보폭을 맞춰야 한다는 것이다.
코인 프로젝트 관계자 C씨는 "지금까지의 규제는 국내에 초점을 맞춘 경우가 많아 글로벌 서비스를 위해 손봐야 하는 지점들이 많았다"라며 "가상자산 시장은 국경을 넘나드는 만큼 이를 고려한 정책들을 마련해줬으면 한다"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