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역 일대 용산정비창 50만㎡ 개발
2024년 하반기 기반시설 착공 등
서울 용산역 인근 용산 철도정비창(용산정비창) 일대 50만㎡ 개발 청사진이 26일 공개됐다. 오세훈 시장은 이곳에 아시아판 실리콘밸리를 목표로 한 ‘용산국제업무지구’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이날 오전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계획’을 발표했다. 용산정비창은 서울 용산구 한강로3가 40-1일대로 51만2138㎡ 규모로 서울 한복판에 남은 잠재력 높은 중심거점이다. 지난 2007년부터 개발 사업이 꾸준히 논의된 곳이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정권 교체 등으로 부침을 겪으면서 빈 땅으로 남았다. 2013년 용산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사업이 최종 무산된 이후 10년째 방치됐다.
서울시는 용산정비창에 미래도시 키워드를 담아 글로벌 도시경쟁력과 기술혁신을 선도하는 미래 신 중심지로서의 국제업무지구를 만들겠다고 했다. 시는 앞서 토지 지분의 약 70%를 보유한 코레일과 36차례 실무협의 등을 거쳐 개발 비전과 방향 등을 설정했다. 공사 일정은 2024년 하반기 기반시설 착공, 2025년 앵커부지 착공을 목표로 추진한다.
아울러 시는 사업 위험을 줄이기 위해 공공기관인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와 코레일이 ‘공동사업시행자’(코레일 70%, SH공사 30%)로 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과거에는 민간 프로젝트금융사(PFV) 주도 개발 방식을 취했지만, 외부 경제 상황 변화 등의 위험으로 민간이 흔들리면서 좌초된 바 있다.
이에 공공이 약 5조 원을 투입해 부지를 조성하고 인프라를 먼저 설치한다. 이후 민간에서 개별 부지별로 완성할 계획이다. 코레일과 SH공사는 가칭 ‘용산개발청’을 설치해 안정적인 사업 추진을 도모한다.
용산정비창 일대 개발은 아시아의 실리콘밸리를 목표로 추진한다. 초고층 마천루 사이에 공원과 녹지가 함께하고, 세계적인 기업들이 입주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에 일자리부터 주거, 여가, 문화생활까지 도시의 모든 기능이 한꺼번에 이뤄지는 ‘직장·주거 혼합’ 도시로 조성된다. 외국 기업과 인재 유치 및 정착을 위한 국제교육시설, 병원 등 외국인 생활인프라도 들어선다.
이에 시는 법적 상한 용적률의 1500%를 넘는 초고층 건물이 들어서도록 할 계획이다. 이른바 ‘입지규제 최소구역’을 지정해 전체 부지의 70% 이상을 비주거 용도로 채운다. 입지규제최소구역은 주거‧상업‧업무 등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지역으로 개발하기 위해 용도지역 등에 따른 입지규제를 적용받는 곳을 뜻한다. 용산국제업무지구와 유사한 뉴욕 허드슨야드의 경우 최대 용적률을 3300%까지 허용하고 있으며, 평균 용적률은 1800% 이상이다.
오 시장은 “더 늦기 전에 용산정비창 개발을 시작할 것”이라며 “이번 사업을 차질 없이 실행해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높이고 국가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