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 경색 우려에도 채무보증 늘어나는 대형건설사…“위험성 의견 분분”

입력 2022-11-13 18:00수정 2022-11-15 16: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투데이DB)

부동산 경기 악화로 건설사들 자금 경색 등 돈맥경화가 심해지고 있는 모양새다. 하지만 우발채무 우려가 있는 채무보증액도 크게 늘고 있어 이에 대한 의견도 분분하다. 10대 건설사 중 상당수는 채무보증액이 자기자본을 크게 넘어섰고, 증가 폭 역시 가팔라지고 있다. 최근 주택 미분양 증가 추세,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 부실 우려 등이 커지면서 일각에서는 도미노 자금조달 위기의 도화선이 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3일 본지 취재결과 올해 시공능력 평가 기준 상위 10대 건설사 중 GS건설, 대우건설, 롯데건설, HDC현대산업개발 등 4곳의 ‘타인에 대한 채무보증’ 총 잔액(6월 말 이후 집계 기준)은 ‘자기자본(2021년 말 연결 재무제표 기준)’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무보증이란 말 그대로 타인이나 기업이 빌린 돈을 갚지 못할 때 대신 갚겠다고 보증하는 행위를 말한다. PF 대출에 대한 보증이나 정비사업 조합에 대한 신용공여 등을 포함한다. 기업의 위험지표로 인식되지는 않지만, 경기 불황이 지속하면 부실채무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대표적인 것이 건설사의 PF 관련 채무보증으로 시행사가 영세한 경우 추진 중인 사업에 차질이 빚어지거나 관계사 등이 부실해질 경우 채무보증은 고스란히 건설사들이 떠안을 수밖에 없다. 최근 같은 자금 경색 우려가 큰 분위기에서는 우려가 커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GS건설의 전체 채무보증 잔액은 6조6690억2700만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자기자본 4조8727억2384만2820원 대비 약 136.86% 높은 수치다. 지난해 11월 기준 채무보증액은 6조3527억8927만6000원으로, 이보다 4.97% 늘었다. ‘신반포4지구 재건축조합’(3800억 원) 등에서 보증액이 늘었다. 다만 GS건설의 전체 보증금액 중 대부분이 책임준공 관련이며 시행사 지급보증은 1조6000억 원 수준으로 자기자본 대비 30%에 불과하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대우건설 채무보증 총 잔액은 12조9828억2409만7731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올해 1월 7조3145억2107만8591원 기준 77.49% 급등한 수치다. ‘운정 푸르지오 파크라인 수분양자’(3260억4000만 원) 등 여러 수분양자에 대한 보증액이 늘었다. 자기자본 3조2163억7789만7581원과 비교하면 약 4배 이상 많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상기 표에 기재된 채무보증 총잔액은 재무 리스크가 크지 않은 아파트 수분양자 중도금대출 알선, 책임준공 및 신용공여 등도 포함된 금액” 이라며 “대우건설의 경우 실제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PF 보증(연대보증, 채무인수)관련 금액은 1조2500억 원으로 자기자본 대비 리스크가 낮다”고 말했다.

또한 롯데건설의 채무보증 총 잔액은 6조4433억8500만 원이다. 자기자본 2조5622억8645만2612원 대비 2.5배 많다. 롯데건설의 채무보증 잔액은 매년 크게 늘고 있다. 2020년 3조9898억1400만 원에서 지난해 5조8882억3700만 원으로 47.58% 올랐고, 올해는 전년 대비 약 10% 더 올랐다.

HDC현대산업개발 전체 채무보증 잔액은 6조3927억6576만4919원으로, 자기자본 2조8852억8064만4903원 대비 2.2배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 잔액 6조2849억1095만9127원과 비교하면 소폭 증가한 수치다.

현대건설 채무보증 잔액은 9조3516억7349만6003원으로, 자기자본(9조4292억9069만7570원) 대비 99.17%에 달했다. 지난해 6월 7조4454억5561만6087과 비교하면 25.60% 늘었다. 현대엔지니어링 역시 자기자본 대비 채무보증 잔액이 90% 수준으로 비교적 높았다.

이들 건설사의 공통점은 주택사업 비중이 높다는 것이다. 도시정비사업 등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건설사의 채무보증이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는 만큼 자연스레 보증잔액이 늘어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삼성물산(2.82%), 포스코건설(28.90%), DL이앤씨(60.10%), SK에코플랜트(17.82%) 등은 자기자본 대비 채무보증 잔액이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PF대출 부실화 우려 고조" vs "불확실성 파급 효과 모호"

통상 부동산 개발사업 특성상 대규모 채무보증은 불가피하지만, 상황이 상황인 만큼 우려와 함께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란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MD상품기획비즈니스학과 교수)는 “건설사들은 지급보증, 준공보증, PF보증 등을 통해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분양이 되지 않으면 자금이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며 “최근 고금리 등으로 촉발된 미분양 상황은 내년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정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도 “미국 금리 인상, 원자재가격 상승, 분양시장 냉각 등으로 부동산 PF대출 부실화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며 “사업장별 대출 부실가능성 진단과 선별적 금융지원 방안이 수립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다만 아직은 과도기로서 섣부르게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원구원 연구위원은 “10대 건설사들이 진행하는 현장은 철저한 검증을 거쳐 진행하기 때문에 사업이 모두 엎어질 가능성이 크지 않다”며 “일부 건설사들의 위험성을 건설업 전반으로 확대해 일반화하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대형 건설사들은 계열사 물량도 많고, 그룹 차원에서 문제가 발생할 때 충분히 방어할 여력이 있다”며 “PF시장의 불확실성에 대한 규모와 파급효과가 지금은 모호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최근 건설사의 자금경색을 막기 위한 조치에 들어갔다. 도시주택보증공사(HUG)의 미분양 주택 PF 보증 상품을 5조 원 규모로 신설해 준공 전 미분양 사업장이 PF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또 중소형 사업장에 대한 PF보증도 10조 원까지 확대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