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는 느끼나 활용도 낮을 땐 디지털 장비 지원ㆍ기술 교육
스스로 디지털 전환 가능하다면 투자 자금ㆍ스마트인력 활용 지원
전문가들은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을 수준에 따라 크게 3가지 타입으로 구분해 핀셋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보고 있다. 디지털 전환이 이뤄졌거나 스스로 디지털화가 가능한 소상공인과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인식은 있지만, 아직 수준이 부족한 소상공인 △인식이 부족해 전통방식을 고수하는 소상공인으로 나눠 정책을 적용하는 맞춤형 방식이다.
이미 디지털 전환이 이뤄지고 있거나 스스로 전환이 가능한 소상공인은 스마트오더와 디스플레이, 무인결제 시스템 등 인프라를 갖추고 활용하는 소상공인이다. 전체 소상공인의 약 5% 내외로 추정된다. 이들에 대해선 자체 역량을 발휘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건강한 여건을 마련해주는 게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남윤형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현황 및 단계별 추진전략’ 보고서에서 “스마트화 R&D, 스마트기기 확충, 투자를 위한 정책자금, 스마트인력 활용 지원 등이 필요하다”며 “역량을 충분히 갖춘 소상공인을 발굴해 현장의 리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인식은 있지만, 아직 디지털화 수준이 부족한 소상공인은 영업에 필요한 디지털 설비를 갖추지 못하고, 활용도 또한 낮은 소상공인으로 볼 수 있다. 남 연구원은 “고도화된 디지털 장비를 보급하고, 시장에서 이미 상용화된 디지털 기술과 서비스를 신속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 활용과 플랫폼 진출, 제로페이 등 전자결제 시스템부터 갖추도록 지원하는 게 중요하다고 봤다.
‘인식 부족 및 전통방식 고수’에 속한 소상공인들은 약 70% 안팎으로 추정된다. 디지털 전환을 고려하지 않고, 그 필요성 역시 느끼지 못하는 소상공인이다. 사실상 대부분의 소상공인이 여기에 속한다. 이들에게는 디지털 전환에 대한 필요성부터 심어주고, 디지털 전환이 이뤄질 수 있게 육성하는 체계가 시급하다. 디지털화가 가능한 기초장비를 보급하고 인식개선과 교육ㆍ컨설팅, 콘텐츠화 등을 지원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구체적으로는 복합결제 단말기 보급 등 인프라 확대와 모바일 앱을 통한 배송체계 구축, 라이브커머스 활용 등이 꼽힌다.
다만 이 같은 정책 시행에 앞서 법적 제도적 장치 마련이 추진돼야 한다. 플랫폼 내 입점으로 발생하는 수수료와 불공정 등 소상공인을 위한 보호장치와 디지털화 과정에서의 막대한 지출을 위한 재원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또 디지털 전환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을 위해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업종별로 특화된 스마트기기 개발과 보급, 지자체의 참여 유도와 역할 부여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