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소비회복 속도 더뎌 리오프닝 효과 당장 힘들어”
정부의 예상과 달리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가 좀처럼 우리 수출에 반영되지 않고 있는 모습이다.
우리나라 최대 교역국인 중국에 대한 수출 급감이 지속되고 있고, 이로 인해 무역수지 적자 행진이 계속되고 있어서다.
16일 정부 부처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수출의 20%에 육박하는 대중(對中) 수출액은 지난달 104억2000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 같은 기간보다 33.4% 급감했다. 이로써 대중 수출은 10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 갔다. 이달 1~10일 대중 수출도 전년대비 31.9% 줄어 반등의 여지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러한 수출 급감은 대중 수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우리 최대 품목인 반도체 수출이 대폭 줄어든 것에서 기인한다. 지난달 1~25일 대중 반도체 수출액은 22억6000억 달러로 전년보다 49.5% 감소했다. 이로 인해 우리 전체 수출도 휘청거리고 있다. 지난달 수출액(551억3000만 달러)은 1년 전보다 13.6% 감소해 5개월 연속 내리막을 걷고 있다.
반면 지난달 대중 수입액은 1319억 달러로 전년보다 4.5% 증가했다. 중국으로부터 원자재 등의 수입이 늘어난 탓이다. 이에 따라 대중 무역수지(수출액-수입액)는 22억7000만 달러 적자로 6개월 연속 적자를 이어갔다. 이는 지난달 전체 무역수지 적자액(-46억2000만 달러)의 절반에 달하는 수치다. 무역적자는 지난달까지 13개월째 계속되고 있다.
이 같은 대중 수출 감소 및 무역적자 지속은 정부가 기대해온 중국의 리오프링 효과가 좀처럼 반영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한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올해 2월 ‘2023년 재정경제금융관 회의'에서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해제에 따른 리오프닝 효과가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수출 및 무역수지가 점차 개선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일각에서는 중국 현지 소비회복 속도가 빠르지 않아 중국 리오프닝 효과가 당장 가시화하는 건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KB금융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가계의 가처분소득 중 소비지출로 쓰여야 할 부분이 쓰이지 않고 저축으로 축적되는 초과저축(약 752조~1391조 원)이 막대하게 발생하고 있다"며 "이는 중국 가계의 소비지출 증가세 둔화, 주택 구매감소, 금융상품 투자 위축 등에서 기인한다"고 진단했다.
이어 "최근 중국 리오프닝로 인해 이에 따른 기대감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나 그 효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날 때까지는 일정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중국의 자체 조달능력 향상도 대중 수출 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은 2015년부터 '제조 2025년 정책'을 추진하면서 부품의 자체 조달이 가능해진 상황이다. 우리나라로서는 중간재, 자본재 등의 수출이 줄 수밖에 없다.
대표적인 예가 이차전지다. 관련 중국 기업의 자국 내 시장 점유율이 지속해서 상승하면서 지난달(1~25일) 한국산 이차전지 대중 수출(4000만 달러)은 전년보다 33.3% 줄었다.
7일 추 부총리 주재로 열린 중국 경제 전문가 간담회에 참석한 정지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팀장 등은 "중국의 중간재 자급률 상승, 자국산 선호와 같은 소비패턴의 변화 등도 나타나고 있는 만큼, 대중 수출 유망 품목 발굴, 중간재 경쟁력 강화 등 종합적인 수출전략을 더욱 치밀하게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