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타깝게 사망한 정욱이의 사연이 전해졌다.
24일 방송된 SBS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응급차에 실려 80분간 표류하다 결국 사망에 이른 다섯 살 정욱이의 이야기가 집중적으로 그려졌다.
지난 5월 6일, 정욱이는 열이 40도까지 오르는 고열에 시달렸다. 엄마는 119에 신고해 아이를 병원으로 이송하고자 했지만, A병원에서는 “병상이 부족하다”라고 말했고 B병원에서는 “입원은 불가하지만 치료는 가능하다”라는 답을 받았다.
그날 정욱이는 약 80분의 이동 끝에 B병원에서 호흡기 치료와 주사 치료를 받고 집으로 돌아갔고, 다음날인 7일 밤 다시 증상이 악화됐다. 다시 B병원에 문의했던 엄마는 마찬가지로 “입원은 불가하지만 치료는 가능하다”라는 답을 받았다.
그러나 정욱이는 끝내 병원으로 가지 못했다. 병원에 갈 준비를 하던 중 쓰러졌고 그대로 심정지 상태로 사망에 이르렀기 때문. 사인은 전날 진단 받았던 급성 폐쇄성 후두염이었다. 후두덥개가 부어 기도를 막아 질식한 것이다.
처음 정욱이를 진료했던 동네 소아과의 의사는 충격을 감추지 못했다. 그는 “급성 폐쇄성 후두염이 그렇게 죽을병이 아니다. 오지에 살고 있으면 그걸 수 있지만, 서울 한복판에서는 그럴 수 없다. 이게 대한민국에서 일어날 일이냐”라고 말했다.
정욱이의 아빠는 “치료를 받으러 가야 하는데 병원들이 병상이 부족하고 소아 응급환자를 받지 않는다는 이유를 대서 서울에서 5살 애가 사망을 했다는 이야기는 정말 기가 찰 노릇이 아니냐”라고 참담함을 드러냈다.
실제로 당시 구급대원은 5개의 병원에 전화를 걸었고 결국 진료만 가능하다는 B병원으로 향했다. 하지만 추가 자료에 따르면 구급대원은 당시 10곳의 병원에 전화를 건 뒤에야 마지막으로 B병원으로 향한 것이다.
당시 병원들은 “그 시간에 소아 진료 의사가 없다. 오후 5시까지만 가능하다”, “해당 시간에는 응급실이 가득 찼고 빈자리가 없었다고 한다”라고 말했다. 소아과 전문의가 부족해 결국 시간을 단축했다는 대학병원도 있었다.
이에 대해 정욱이의 사연을 세상에 알린 SBS 조동찬 의학 전문 기자는 “서울에 소아전문 응급센터 3개 있다. 그때 연락한 10개 병원 중 응급센터 2개가 있었다. 소아 응급 상황에서 마지노선 역할을 하라고 한 건데 안 된거다”라며 “비슷한 사례가 드러날 거다. 지금 개선되지 않는다면 피해자는 있을 거다. 그런데 가해자는 누굴까”라고 꼬집었다.
실제로 어린아이를 키우는 많은 부모들이 병원을 찾지 못해 힘겨운 사투를 벌였다. 특히 지방에서는 상황이 더 심각했다. 의정부에서 아이의 팔이 부러졌다는 한 부모는 응급진료를 위해 서울까지 와야 했고, 아이의 장중첩증 수술을 받기 위해 세종에서 서울까지 원정을 온 부모도 있었다.
구급대원들에 따르면 현장 상황은 더 심각했다. 한 구급대원은 한번에 30통까지 문의 전화를 했다. 실제 통화 녹음을 보면 모두 “소아과 의사가 없다”라고 말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소아과 전문의들은 “턱까지 물이 차 있는 형태다. 자칫 잘못하다간 숨을 못 쉬게 될 거다. 어떻게든 버텨왔지만 그렇게 될 것”이라고 다소 비관적인 시선을 보였다. 최근 소아과 인력이 급감하고 있기 때문.
지원율이 급격히 줄어들기 시작한 것은 19년. 전북대 병원의 소아과에서 총 12명의 티오가 차야 하지만, 현재는 3명뿐이다. 모자란 인원으로 빈 곳을 계속해서 채우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2023년 전국 67개 수련병원에서 소아청소년과 207명을 모집했지만, 지원인원은 겨우 33명이었다. 19년 80%에서 16%까지 줄어든 것. 이처럼 소아과 인력이 줄어들며 응급실을 지키는 것도 어려워져 응급실 진료 체계에 비상이 걸린 상황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