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더딘 경기회복, 본질은 부동산 리스크보다 민간심리 악화”

입력 2023-08-22 07:5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출처=대신증권)

중국의 부동산 리스크가 금융위기로 확산할 가능성은 낮지만, 경기 회복을 위해선 민간 심리 개선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다은 대신증권 연구원은 22일 “최근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인 컨트리가든이 채권이자 지급에 실패한 가운데 헝다마저 미국 뉴욕 법원에 파사보호신청을 하면서 중국 부동산 리스크 이슈가 대두되고 있다”며 “10월까지 다수의 중국 디밸로퍼의 채권 만기가 몰려 있는 가운데, 부동산 대출 부실 문제가 제기되면서 중국의 금융위기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중국 부동산 경기가 빠르게 회복하지 못할 것으로 보이지만 이로 인해 금융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면서 “중국은 계획금융과 시장금융이 공존하는 이원화된 시스템(국유은행을 통해 시스템 안정성을 확보하고 비국유은행을 통해 효율성을 확보)을 가지고 있어 리먼 사태 같은 일이 발생하기 어렵다”고 짚었다.

결국 경기 우려의 본질은 민간 심리 개선이 나타나고 있지 않다는 지적이다. 전날 중국 인민은행은 기준금리인 1년 만기 LPR(대출우대금리)를 10bp(1bp=0.01%포인트) 인하했고, 부동산 관련 5년 만기 금리는 동결했다.

이 연구원은 “시장에서 각각 15bp씩 인하할 것으로 예상했던 것에 비해선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라며 “결국 정부는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득이 실보다 크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6월 한 차례 기준금리를 인하한 바 있지만 7월 신규 위안대출 증가 규모는 3459억 위안으로 2009년 이후 1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완화적 통화정책에도 심리가 여전히 악화한 데다, 미국과의 금리 차로 위안화 약세가 심화할 가능성도 고려한 결과다.

이 연구원은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며 경기가 회복되기 위해서는 민간의 심리 개선이 선제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면서 “현재 중국 경제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는 단순히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디폴트 가능성이 아닌 레버리지를 통한 성장의 한계다. 중국 정부가 사회를 구조조정하고 새로운 동력을 찾는 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중국 경제 상태를 인지할수록 정책에 대한 기대감만으로 시장이 반등하는 강도와 기간은 점차 줄어들 수밖에 없다. 따라서 경제 지표가 악화될 때마다 추가 정책에 대한 기대로 긍정적으로 해석하기보다 중국 경제가 직면한 구조적 문제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