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에 실질소득 3.9% 줄어...가처분소득도 역대 최대폭 감소
올해 2분기 가계 실질소득이 고물가 여파로 1년 전보다 3.9% 줄어 역대 최대 감소폭을 찍었다.
고금리에 따른 이자 비용 부담이 크게 늘면서 가구가 소비 지출과 저축 등에 쓸 수 있는 가처분소득 또한 역대 최대 폭으로 줄었다. 가계의 소비 여력이 떨어진 것이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23년 2분기 가계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보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79만30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0.8% 줄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6년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가구 소득은 2021년 2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전년동기대비 7분기 연속 증가세를 지속하다 2분기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지급된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등 코로나19 지원금이 소멸된 것이 가구 소득 감소의 주원인이란 분석이다. 물가 영향을 반영한 가구 실질소득은 전년동기대비 3.9% 줄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6년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통계청은 "코로나19로 인한 이전소득이 사라지면서 기저효과가 컸고 고물가 영향이 더해지면서 소득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소득 유형별로 보면 전체 소득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근로소득이 302만8000원으로 4.9% 늘었다. 9분기 연속 증가세다. 사업소득(92만7000원)은 원재료값 인상, 이자 비용 증가 등 영향 0.1%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전소득(71만8000원)은 21.9% 줄었다 소상공인 손실보상지원금, 방역지원금 등 정부 지원효과가 사라지면서 공적 이전소득(50만 원)이 28.9% 줄어든 영향이다.
이자·배당과 관련된 재산소득(4만 원)은 21.8% 늘었고, 경조소득·보험금 수령 등 비경상소득(11만3000원)은 12.5% 감소했다.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가계지출은 365만2000원으로 전년동기보다 4.1% 늘었다. 이 중 소비지출은 269만1000원으로 2.7% 늘어 10분기째 증가세를 보였으나 증가 폭은 크게 둔화했다. 물가를 반영한 실질소비지출 증가율은 0.5% 줄었다.
비소비지출은 96만2000원으로 8.3% 증가했다. 이중 고금리 영향으로 이자 비용이 42.4% 늘면서 1분기(42.8%)에 이어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가구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은 뺀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83만1000원으로 1년 전보다 2.8% 줄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6년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통계청은 "2분기에 소득과 이전소득이 줄고, 비소비지출이 상대적으로 크게 늘면서 가처분소득도 역대 최대로 줄었다. 그 여파로 전체 (실질) 소비도 줄었다"고 설명했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제외한 흑자액은 114만1000원으로 1년 전보다 13.8% 감소했고, 흑자율도 29.8%로 3.8%포인트(p) 하락했다.
2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34배로 1년 전(5.60배)보다 축소됐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을 가구원 수로 나눈 후 상위 20%의 소득이 하위 20%의 몇 배인지를 보는 지표다.
배율이 줄었다는 것은 빈부 격차가 완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2분기 배율 감소는 1분위의 소득 증가가 아닌 5분위의 소득 감소에 따른 것으로 분배 개선보다는 하향평준화에 가깝다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