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시장 내 비(非)아파트 기피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전세사기 여파와 아파트 선호도 증가가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20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올해 전국 주택 전세거래 총액 중 비아파트 비중은 19.6%로 2011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처음으로 20% 미만을 기록했다. 전세거래 총액은 아파트 181조5000억 원, 비아파트 44조2000억 원으로 비중은 아파트 80.4%, 비아파트 19.6%였다.
아파트 전세시장은 올해 가격이 상승하며 회복세를 보였으나, 비아파트 전세시장의 침체는 장기화하고 있다. 비중도 줄어들고 전체 거래 규모도 크게 줄어들었다.
2023년 권역별 주택 전세거래총액은 수도권 178조4000억 원, 지방 47조4000억 원으로 조사됐다. 비중은 수도권 79.0%, 지방 21.0%로 나타났다. 지방 주택 전세거래 총액 비중은 2014년 20.3%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2022년의 22.2%에 비해 1.2%포인트(p) 낮아져 2015년 전년 대비 1.3%p 증가한 이후 가장 큰 폭의 변화가 나타났다.
올해 지방의 비아파트 전세거래 총액 비중은 2.5%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고, 지방 아파트도 18.5%로 2018년 이후 가장 낮은 비중으로 조사됐다. 수도권도 비아파트 주택 전세거래 총액 비중이 17.1%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수도권 아파트 비중만 61.9%로 역대 최대를 차지하면서 지역별·주택유형별 전세시장의 양극화가 포착됐다.
올해 인천과 경기의 아파트 전세거래 총액 비중은 80%를 넘어섰으며, 서울도 75.4%의 비중으로 수도권에 속한 3개 시ㆍ도지역에서 역대 최대 비중을 보였다. 경기 아파트 전세거래총액이 80%를 넘어선 것은 처음이고, 인천은 2016년 80.1%를 기록한 이후 두 번째다. 서울의 아파트 전세거래총액 비중이 70%를 넘은 것도 2017년 70.1% 이후 처음이다.
지방 광역시와 세종시의 아파트 전세거래 총액비중이 90% 안팎에 달한다. 세종은 특별자치시 조성으로 아파트 건설이 집중되어 아파트 비중이 높은 특성이 반영됐으나 그 외 지역은 비아파트 주택시장의 위축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비아파트 전세시장이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며 “전세사기 영향과 함께 지방은 거주민의 아파트 선호에 따른 비아파트 수요 감소, 아파트로 이동하면서 증가한 빈집 등으로 인해 비아파트 시장이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