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안보와 탄소중립 위한 원전·풍력·수소분야 협력 강조
에너지안보와 탄소중립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원전, 풍력, 수소 등 무탄소에너지 분야에서 한국과 영국의 경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7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이슬기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에 의뢰한 ‘한영 경제 협력 방안’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한국이 원전 설계와 건설, 기자재 제작 부문에서 경쟁력을 갖췄고, 영국은 자국 내 원전 산업 기반이 약하기 때문에 고성장하는 영국 원전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국내 대형 원전의 영국 수출 협의를 가속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특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구권 국가들이 러시아를 제재 대상으로 지정하면서 양국의 원전 협력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러시아는 세계 원전 수출 시장의 약 68%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소형모듈원전(SMR), 4세대 모듈형 원전(AMR) 분야에서의 양국 협력을 강조하면서 향후 제3국 공동 진출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국은 2028년까지 혁신형 SMR의 표준설계 인증과 2030년대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AMR 분야에서는 2030년까지 소듐냉각고속로 등 4세대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노력 중이다. 영국은 롤스로이스 SMR이 2029년 가동을 목표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AMR 실증로 구축을 위해 6개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해상풍력 분야에서는 국내 제조사들의 영국 시장 진출을 확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영국의 해상풍력 설치용량은 13.7기가와트(GW)로 중국에 이어 세계 2위지만, 자체 풍력 설비나 기자재 제조업은 보유하고 있지 않다. 해상풍력 타워와 하부구조물 제조에서 경쟁력을 갖춘 국내 기업들이 영국 시장에서 실적을 쌓고, 유럽을 포함한 세계 시장으로 나아가기 위한 교두보로 삼아야 한다는 설명이다.
풍력 프로젝트와 관련한 영국의 법률·금융 시스템 도입과 노하우 공유를 위한 한영 교류·협력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도 강조됐다. 보고서는 영국이 법률·금융 시스템 측면에서 해상풍력 단지개발사가 자립할 때까지 수반되는 대규모 리스크를 어떻게 관리하는지 배울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한국은 연료전지나 수소차 등 수소활용 부문에서, 영국은 수소생산 부문에 강점이 있는 만큼 양국이 상호 보완적인 협력을 통해 수소산업 공급망을 강화할 수 있다고 봤다.
이어 연료전지와 수전해 시스템의 핵심 소재인 백금족광물, 니켈, 코발트 등의 공급 부족이 예상되는 가운데 한영 공동 구매를 추진해 공급망 리스크를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보고서는 한국이 9월 UN총회에서 제안한 무탄소에너지 확산을 위한 오픈 플랫폼 ‘CF연합(Carbon Free Alliance·카본 프리 얼라이언스)’에 영국 정부와 주요 기업들의 참여를 독려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추광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세계에서 온실가스 감축에 가장 적극적인 나라인 영국은 탄소중립 목표 달성과 동시에 점차 높아지는 에너지안보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무탄소에너지원을 활용하고 있다”며 “무탄소에너지 분야에서 한영 경제 협력을 강화해 기후변화 어젠다를 선도하고 에너지안보 위기에 공동으로 대응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추 본부장은 “이번에 개시된 한영 자유무역협정(FTA) 개선 협상은 글로벌 경제통상 환경 변화를 반영한 디지털, 공급망, 청정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신통상 규범 도입을 골자로 한다”며 “양국의 미래 지향적인 전략적 통상관계 수립을 위해 FTA 개선 협상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