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한 배터리 소재 업체가 신규 채용 일정을 연기했다는 기사를 썼다. 업황 악화로 경영 환경이 어려워졌다는 게 그 이유였다.
곧장 항의 메일이 날아왔다. 개인 투자자로 추측되는데, 요지는 “왜 잘나가는 이차전지(배터리)를 두고 그런 기사를 썼냐”는 거였다.
탄소중립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요구가 됐고, 탄소중립을 위해선 전기차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라는 데는 반박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1년여 전만 해도 반도체를 이을 한국 경제의 핵심 산업으로 주목받던 배터리 산업이 위기에 놓인 것 또한 사실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포드, 튀르키예 코치그룹과 준비하던 튀르키예 합작공장 설립을 취소했다. SK온은 포드와 설립 중인 켄터키 2공장의 가동 시점을 당초 계획했던 2026년 이후로 연기했다. 양사는 현지 인력을 감축하기도 했다.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등을 앞세운 중국 배터리 기업의 저가 공세도 만만찮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1~10월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에서 점유율 1위인 LG에너지솔루션과 2위 CATL의 격차는 겨우 0.1%포인트(p)에 불과하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나 중국 정부의 흑연 수출 통제 조치, 주요국 대선으로 인한 정치 구도 변화와 지정학적 위기 등 각종 변수들도 배터리 업계의 어려움을 더한다.
새로운 기술이 대중에게 받아들여지기 전까지 겪는 침체기를 ‘캐즘(Chasm)’이라고 한다. 글로벌 전기차 수요가 둔화하고, 배터리 업황이 부진한 것도 이러한 측면에서 해석할 수 있다.
캐즘을 극복하기 위한 기업들의 노력은 현재진행형이다. 숨 고르기에 들어선 기업들은 투자 속도를 늦추는 대신 초격차 기술 개발, 원가 절감, 조직 개편 등 내실을 다지고 있다.
캐즘을 뛰어넘으면 기술과 제품의 대중화가 이뤄진다. ‘포스트 캐즘’을 선도할 K-배터리로 거듭날 수 있길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