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 사태로 드러난 시장의 PF(프로젝트파이낸싱) 경계감은 크지 않은 수준이나, 자구 노력 등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8일 한국투자증권은 "건설업종은 태영건설 워크아웃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정부가 개입해 신속한 인수·합병(M&A)을 유도할 수 있는 업종이 아니다. 부동산PF 익스포져가 큰 건설사에 대해서는 자구노력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옥석가리기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근 태영건설 이슈로 PF 관련 채권시장 및 건설업황은 약세 우려가 커졌지만, 자금조달에 차질을 빚는다거나 약세 폭이 크게 확대되지는 않고 있다. 매입 확약을 서고 있는 상위권 증권사의 펀더멘털과 유동성에 문제가 없음이 확인되는 모습이다.
캐리(금리) 매력이 좋은 상위등급 PF-ABCP도 차환에 큰 문제가 없는 상태다. 실제로 태영건설 워크아웃이 진행 중이나 일부 PF 사업장의 공매 과정에서 PF-ABCP(자산유동화기업어음)가 선순위 포지션일 경우 회사채 등 무담보채권보다 원리금 상환에 유리한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김기명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다만 "올해 부동산 PF는 사업재구조화 등 구조조정작업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하는데, 이 과정에서 펀더멘털이 훼손되거나 유동성이 악화되는 회사가 추가로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PF에 대한 과도한 경계감도 문제지만 PF관련업종에 대한 경계감이 너무 많이 풀리는 것도 문제"라고 짚었다.
이어 "부동산 PF 익스포져가 있는 금융회사는 충당금 적립 등을 통한 적극적이면서도 선제적인 완충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고, PF 보증규모가 크거나 재무구조가 취약한 건설회사도 자구노력을 충실하게 해나갈 필요가 있다"며 "그리고 PF 관련 업종에 대한 채권투자는 관련 회사의 자구노력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면밀하게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펀더멘털 훼손이 우려되는 일부 금융사가 나타날 수 있어도 정부가 시스템 리스크로의 확산방지를 위해 제2선에서의 안전망을 치면서 빠르게 M&A를 유도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환능력에 문제가 발생하는 금융회사가 나올 가능성은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