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대거 유출에 글로벌 금융허브 지위 퇴색
국가보안법 도입, 선거제 개편으로 민주주의도 위기
중국과의 정치적 밀착에 외국인 투자자 유출만 가속
2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홍콩이 1998년 아시아에서 일어났던 금융위기를 재현할 위기에 직면했다고 보도했다. 홍콩증시 항셍지수의 매도세가 심해지면서 은행가와 투자자들은 최악의 상황에 대비하기 시작하는 등 20여 년 전과 같은 위기가 벌어진다면 진원지는 홍콩이 될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전망했다.
1년 전만 해도 ‘제로 코로나’ 정책에 억눌렸던 중국의 경제활동이 활발해지고 억눌린 소비자 수요가 폭발해 홍콩 경제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실상은 달랐다. 중국 경제는 부동산 위기와 내수 부진, 당국의 기업 옥죄기 등으로 인해 좀처럼 회복하지 못했고 여파는 홍콩으로까지 이어졌다.
민주주의 후퇴 위기도 직면했다. 홍콩은 2020년 중국이 국가보안법을 도입하고 2021년 애국자만 출마하도록 선거제도를 개편한 이후로 반자유적 권위주의 국가로 나아가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는 사실상 친중 인사들 위주로 입후보를 제한한 것을 의미했다. 현지에선 홍콩을 통치하는 행정장관이 사실상 중국의 대리인에 불과하다는 지적들도 쏟아져 나온다.
같은 날 유엔은 현재 구속 중인 홍콩 민주화 거물 지미 라이 빈과일보 사주에 대한 모든 혐의를 기각하고 석방할 것을 홍콩 정부에 촉구했다. 유엔 특별보고관들은 보고서에서 “라이의 체포와 구금, 몇 년에 걸친 형사 소송은 그가 중국 정부를 비판하고 홍콩 민주주의를 지지한 것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우리는 홍콩 법무부가 직접 판사를 선정하는 등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가 여러 차례 심각하게 훼손됐다는 사실에 경악했다”고 질책했다.
대표 반중 매체였던 빈과일보는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2021년 강제 폐간됐다. 이후 라이 사주는 같은 혐의로 구속된 채 재판을 받고 있다. 지난해 연말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 라이의 재판은 홍콩의 정치적 자유와 사법독립의 바로미터로 주목받고 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은 소개했다.
홍콩의 민주주의 퇴보는 최근 총통 선거를 치른 대만에서도 화두였다. 반중·친미 인사로 새 총통에 오른 라이칭더 당선인은 선거 유세 당시 “중국의 간섭이 성공한다면 대만은 홍콩처럼 총통이 아닌 행정장관을 선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홍콩 민주주의에 대한 주변의 평가가 낮아졌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민주주의 위기는 다시 홍콩 경제 위기로 이어진다. 오리엔트캐피털리서치의 앤드루 콜리어 이사는 “홍콩의 미래는 중국 경제를 위한 거대한 달러 은행이 되는 것”이라며 “이에 서방의 외국인들이 대거 떠났다”고 지적했다. 미국 투자전문 매체 배런스도 “중국의 더 긴밀한 정치적 포섭으로 인해 글로벌 금융 중심지로서의 홍콩은 퇴색되고 있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