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 중앙은행, ‘4년 동행’ 마침표…매파 vs 비둘기파 ‘각자도생’ 나서

입력 2024-02-19 16:2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코로나19 이후 미국 중심으로 같이 움직여
여러 경제적 사정에 최근 엇갈린 경로 탐색
뉴질랜드, 기준금리 추가 인상 조짐
영국, 호주 등도 추가 긴축 시사
미국은 연내 금리 인하 확실시

코로나19 창궐 후 인플레이션이 국제적인 문제로 확산하면서 한목소리를 냈던 선진국 중앙은행들이 4년간의 동행에 마침표를 찍었다. 각기 달라진 경제 사정에 각자도생하면서 이들 사이에 균열이 가기 시작했다.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1990년대 초반 인플레이션 목표 설정의 선구자였던 뉴질랜드 중앙은행은 이르면 이달 말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호주뉴질랜드은행(ANZ)의 이코노미스트들은 뉴질랜드 중앙은행이 이달 말 금리를 0.25%포인트(p) 인상하고 4월에도 같은 폭의 인상을 단행해 금리를 연 6%까지 높일 것으로 내다봤다.

뉴질랜드는 1989년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수치로 공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통화정책을 펼친다는 개념인 물가안정목표제를 세계 최초로 도입한 국가다. 이런 뉴질랜드가 금리 인하를 시사한 미국과 반대로 움직인다는 것은 상징적으로 평가된다. 블룸버그는 “뉴질랜드 중앙은행이 정책 통일성을 깨뜨림으로써 선진국들의 4년간의 동기화가 약해질 수 있다”고 짚었다.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문제인 영국과 캐나다, 호주도 매파적 기조를 유지할 전망이다. 이달 초 12년 내 최고 수준인 현 기준금리를 동결한 호주 중앙은행은 추가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당국은 성명에서 “경제 전망은 여전히 매우 불확실하고 우린 인플레이션 위험에 대해 매우 주의를 기울이는 중”이라며 “추가 금리 인상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왼쪽 위부터 요아힘 나겔 독일 분데스방크 총재, 존 컨리프 영국 잉글랜드은행 부총재,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지난해 5월 13일 일본 니가타현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니가타(일본)/AP뉴시스
그간 정책적으로 밀착했던 미국과 유럽도 경제 궤적이 서로 다른 탓에 엇갈린 정책 경로를 설정할 가능성이 커졌다. 현재 미국에서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내 금리 인하 횟수가 논쟁거리일 만큼 긴축 중단은 기정사실로 여겨지지만, 인플레이션에 시달리는 유럽에선 조심스러운 분위기다. 지난주 독일 중앙은행인 분데스방크의 요아힘 나겔 총재는 “과거 경험으로 볼 때 금리를 너무 일찍 내려 물가가 또다시 오르는 국면에 대응해야 할 때가 더 고통스러웠다”며 “보다 견고하고 특정 금리 수준을 더 오래 유지한 다음 나중에 조처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전략”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도 그간 마이너스 금리를 유지하며 다른 국가들과 반대로 움직였던 일본은행(BOJ)은 몇 달 내로 2007년 이후 처음으로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장기적으로 전 세계 중앙은행들은 국가별로 다양한 인구 증가율과 에너지 수입 의존도, 공급망 이동, 부동산 문제 등 각자 처한 구조적 문제와 싸워야 하는 만큼 2020년 들어 나타나기 시작한 정책적 통일성은 불가피하게 사라질 전망이다. 미국 싱크탱크 후버연구소의 미키 레비 연구원은 “인플레이션은 대부분 국가에서 줄었지만, 중앙은행들은 다양한 경제적 상황에 직면했다”며 “이들은 다양한 속도로 금리를 조절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