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동경제 한 축 '사회이동성 개선방안' 내달 발표
2032년까지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달성하려면 10년간 최대 89만4000명의 추가 고용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는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전담반(TF) 회의를 열고 주요 고용 정책과제 등을 논의했다.
이날 한국고용정보원은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2022년~2032년)'을 보고했다.
이에 따르면 노동력 감소로 인한 경제성장 둔화를 예방하기 위해 20220년부터 2032년까지 최대 89만4000명의 인력이 노동시장에 추가 유입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내연기관 자동차산업 쇠퇴 등 산업구조 전환으로 취업자가 늘어나는 업종과 줄어드는 업종이 보다 뚜렷해지고,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공급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가속화될 것으로 관측됐다.
구체적으로 돌봄수요 증가, 디지털 전환에 따라 보건복지업·정보통신업·전문과학기술업 등 서비스업은 취업자 수가 증가하는 반면 제조업 취업자 수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정부는 생산인구 감소 대응을 위해 청년ㆍ여성ㆍ중고령층 등 잠재 인력의 노동시장 진입 촉진을 위한 과제를 발굴할 방침이다.
그 일환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 노동시장 환경 개선, 교육격차 해소 등을 위한 '사회이동성 개선방안'을 발표한다.
김병환 기재부 1차관은 "역동 경제의 한 축인 사회이동성 개선방안을 마련 중에 있으며 관계부처와 함께 분야별 추진과제를 구체화해 내달 중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혁신 생태계 강화 등을 통해 우리 경제의 역동성을 높이고 성장잠재력을 제고하기 위해선 사회이동성 확대가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최근 고용 동향에 대해선 "지난달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이 모두 2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견조한 흐름이 지속되고 있지만 아직 일자리를 찾지 못한 취업준비 청년, 더 나은 일자리로 이동을 원하는 중소기업 근로자 등이 일자리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내수ㆍ수출의 균형 잡힌 회복과 고용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통해 고용 개선세가 지속ㆍ확산될 수 있도록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지역투자 활성화를 비롯한 건설투자 보강방안을 마련ㆍ추진하는 등 고용 하방위험 요인에도 적극 대응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