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데믹에도, 의료대란에도…검역관들은 '감염병과 사투' 중 [르포]

입력 2024-03-18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해외 풍토병 국내 토착화 차단에 심혈…코로나19 이후 신종 감염병 유행에도 대비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이 14일 오후 제주 서귀포시 강정항에 접안한 중국 상하이발 크루즈선에 승선해 선박 상주의사가 제출한 서면보고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제공=질병관리청)

14일 오후 2시 중국 상하이에서 출발한 파나마 국적 크루즈선(ADORA MAGIC CITY)이 제주 서귀포시 강정항에 접안하자 질병관리청 국립제주검역소 검역관들이 선박에 올라탔다.

검역관들은 먼저 선박 상주의사(선의)의 서면보고를 검토했다. 지영미 질병청장이 직접 선의에게 선내 감염병 환자·유증상자 현황과 증상을 물었다. 이 선박에서 보고된 환자는 인플루엔자 A형 1명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2명, 급성 위장관염(설사) 2명이다. 선의 인터뷰 후 검역관들은 주방 조리시설과 식료품 창고, 선내 메디컬센터의 위생상태를 확인한 뒤 승객 하선 명령을 내렸다. 감염병 환자는 코로나19 환자 2명을 선내에 격리하도록 하고, 나머지 3명에 대해선 추가 조사를 진행한 뒤 보건교육을 하도록 했다.

코로나19 대유행(팬데믹)이 끝났지만, 질병청은 여전히 감염병과 사투 중이다. 특히 전공의 등 의료계 집단행동으로 정부 역량이 비상진료체계에 집중된 상황에서도 질병청만은 묵묵히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감염병 유입 차단에 심혈을 기울일 수밖에 없는 배경 중 하나는 기후 변화다. 기온이 오르면서 뎅기열 등 다른 지역의 풍토병이 국내에서도 확산할 우려가 커져서다. 이미 아열대화가 진행 중인 제주는 해외 풍토병의 토착화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 코로나19 이후 신종 감염병 유행 대비도 필요하다. 신종 감염병 대응은 중장기적 숙제다.

검역 대상은 공항·항만 등 모든 출입국 통로다. 선박에 대해선 승객 검역에 더해 화물 소득을 진행한다. 공항에선 발열감시, 큐 코드(Q-CODE) 또는 건강상태 질문서 징구를 병행하고 있다. 검역 물량은 지난해 큰 폭으로 늘었다. 1년간 크루즈선 138척 14만2000명, 항공기 4200대 64만 명에 대해 검역이 이뤄졌다. 주로 크루즈선은 제주로, 항공기는 인천으로 들어온다. 질병청은 또 해외에서 유입된 감염병 환자 관리·치료를 위해 지방자치단체, 지역 내 의료기관들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운영 중이다.

올해부턴 뎅기열 조기발견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검역 절차에서 확인된 유증상자를 대상으로 뎅기열 신속키트검사를 진행하고, 양성자를 방역통합정보시스템 입국자추적관리를 통해 주소지 보건소로 연계한다. 여기에 주요 감염병 매개체인 진드기, 멸구, 모기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등과 협업해 고공 포집기를 이용한 모기 감시, 철새를 통한 진드기류 유입 감시를 진행 중이다. 인천국제공항에선 6개 기관이 참여해 주기적으로 합동 방제를 실시한다.

기후 변화 자체를 막지 않는 한 해외 감염병 유입은 피하기 어렵다. 검역의 목적은 감염병 유입을 원천 차단하는 게 아니라, 유입되더라도 지역사회 확산을 최대한 늦추는 것이다.

일선 검역관들은 감염병과의 전쟁에서 최전선에 서있다. 박성순 제주검역소 검역팀장은 “확진자 유입을 사전에 차단하고, 지역사회 확산을 막았다는 생각이 들면 보람을 느낀다”며 “크루즈 승객 발열감시에서 코로나19 확진자 4명을 발견해 차단한 적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이후에 다른 팬데믹이 올 거로 생각하고, 이에 대응해 작년에 감염병 대응 매뉴얼을 제작했다”며 “특히 출입국심사 과정에서 검역이 끝나는 게 아니다. 지자체와 연계·협력해 지역사회 확산을 방지하는 것까지가 방역이고, 그런 측면에서 잘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