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화적 금융환경 유지하면서 엔저는 지속
엔화 가치 하락률 13%, 역대 총재 가운데 최대
당분간은 구두 개입에 그칠 전망
실질임금 23개월 연속 하락 등 부담
8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우에다 총재 취임 후 1년간 엔화 가치 하락률은 13%에 달한다. 이 기간 낙폭은 역대 11명의 총재 가운데 가장 크다.
낙폭이 커진 데는 전임인 구로다 하루히코 체제의 정책 영향이 일부 남았던 것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하에 미온적인 모습을 보인 영향이 있었다. 다만 최근에는 우에다 체제의 일본은행이 시장에 실망감을 준 탓이라는 지적도 다분하다.
우에다 총재는 지난달 통화정책을 정상화하겠다면서도 당분간 완화적 금융환경은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탓에 금리를 17년 만에 올렸는데도 엔화 가치는 떨어지는 기현상이 발생했다. 이른바 ‘비둘기파적 통화 긴축 기조’가 엔화 약세를 더욱 부추긴 것이다. 이는 일본은행이 경제와 시장 혼란을 막기 위해 엔화 시세보다 채권시장 안정을 우선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후 시장의 불만을 의식한 듯 우에다 총재는 5일 의회에 출석해 “물가상승률은 앞으로 서서히 높아질 것으로 본다”며 “좀 더 상승하면 단기적으로는 금리 인상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유화적인 제스처를 했다.
게다가 일본 실질임금은 끝없이 하락하고 있다. 앞서 후생노동성이 발표한 2월 실질임금은 전년 동월 대비 1.3% 하락했다. 23개월 연속 하락세로, 낙폭은 1월 기록한 1.1%보다도 컸다. 실질임금은 물가상승률을 적용한 수치로, 기업들이 최근 임금을 대폭 인상했음에도 여전히 임금이 높은 물가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방증이다.
우에다 체제 들어 눈에 띄게 개선된 건 교역이다. 수출물가지수를 수입물가지수로 나눈 값인 교역조건은 구로다 체제이던 2021~2022년 크게 악화하면서 기업들의 실적 부진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우에다가 총재로 취임한 이후 수입물가 급등세가 진정되는 동시에 수출물가가 상승한 덕분에 나아지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의 경우 여기에 엔저 효과까지 누리면서 임금 인상 여력도 키울 수 있었다. 교역조건은 기업들의 무역을 통한 수익성을 보여주는 지표다.
다만 닛케이는 “향후 고유가가 2021~2022년 때와 같이 교역조건을 악화하고 거기에 엔저 가속까지 겹친다면 환율 문제는 계속 정책 운용에 있어 걸림돌이 될 수 있다”며 “엔저와의 싸움이 2년째로 접어든 우에다 체제의 핵심인 것만은 틀림없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