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정세 악화로 원달러 환율과 국제유가가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중소기업들의 경영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른바 ‘3(高)고’(고금리ㆍ고환율ㆍ고물가) 압박으로 기초체력이 약해진 중소기업들은 중동전쟁 확전 위기에 경영 불확실성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5일 원ㆍ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8.60원(0.63%) 오른 1384.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원ㆍ달러 환율이 1380원대로 올라선 것은 1년 5개월 만이다. 이란-이스라엘 사태로 중동의 지정학적 위기가 커진 게 달러 강세의 원인으로 풀이된다.
환율이 상승하면 원재료를 수입해 유통ㆍ제조하는 중소기업들은 수익성이 악화한다. 환율이 오른 만큼 가격 상승분을 판매가격에 반영하고 싶지만, 가격 경쟁력에서 밀려날 수 있다는 우려에 올리기가 쉽지 않다.
수출 중소기업의 경우 과거에는 달러 강세를 호재로 해석했다. 환율이 상승하면 매출 확대 효과가 있는 데다, 수출가격 경쟁력이 향상돼 이를 시장 확대의 기회로 삼았다. 하지만 지금처럼 수입 원자재 가격이 함께 상승하는 경우 상황이 달라진다. 원자재 수입 과정에서 고환율을 체감해야 하기 때문이다.
통상 수출 중소기업이 원하는 적정 원달러 환율은 1200원대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해 수출 중소기업 304개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환율 변동에 따른 수출 중소기업 영향 조사'에서 수출 중소기업이 영업 목표를 이루기 위해 적절하다고 판단하는 환율 수준은 1262원이다. 현재 환율은 이보다 100원 이상 높다.
국제유가 상승세도 부담이다. 두바이ㆍ브렌트유 가격은 최근 배럴당 90달러 안팎을 오가지만 100달러를 넘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중소기업들은 납품단가 연동제 시행으로 과거와 달리 원가 이슈에 대응할 수 있게 됐지만, 중소기업 전반의 비용 구조를 흔들 수밖에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무엇보다 유가 등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감이 커지면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위축되고, 결국 고금리 장기화로 중소기업의 금융 부담도 커진다. 또 고유가로 석유류 가격이 뛰어 내수 소비가 악화하면 이 역시 중소기업 경영에 악재가 될 수 있다.
한 창호 제조업계 관계자는 “2021년 1kg당 3000원이던 알루미늄 가격은 최근 5000원대인데 다음 달이면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며 “고환율ㆍ고유가 등 영향에 원가 비용 커지면서 입찰할 때 단가 높아지는 등 악순환이 벌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정부는 이란의 이스라엘 보복 공습 여파를 점검하고 위기 대응에 나선 상태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향후 사태 전개 양상에 따라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도 커질 수 있다"며 "철저한 상황관리를 해달라"고 주문했다.
이날 중소벤처기업부는 이란의 이스라엘 무력 공격과 관련해 중소벤처기업 피해 현황 점검 및 향후 대응 방안 수립을 위한 TF를 구성, 1차 회의를 개최했다.
회의를 통해 지방중소벤처기업청 수출지원센터 및 유관기관 등과 함께 중소벤처기업 피해 현황을 점검했으며 현재까지 이번 사태로 인한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파악됐다. 또 확전 등 분쟁 상황이 심화할 경우를 대비해 이로 인한 영향과 향후 대응 방안도 함께 논의했다.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소기업들은 제조, 운임비 등 투입 비용이 커질 수밖에 없다”며 “중소제조업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만큼 정부가 정책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